달이 품은 유리구슬,
알고보니 그 안에 물이

3년 전 중국 달 탐사선 '창어 5호'
지구로 가져온 달 토양 샘플 분석해보니...

작은 유리 구슬들에 수분 함유돼
우주비행사들, 달 탐사때 이 물 이용 가능
달 곳곳에 대규모 저수시설 만들 수도 있어

달 표면에 흩어져 있는 작은 유리 구슬에 수분이 함유돼 있고, 이를 통해 수천억톤의 물을 확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우주비행사들이 달 탐사 미션을 수행할 때 이 물을 이용할 수 있고, 저수용량 29억톤인 소양감댐 같은 대규모 저수 시설도 달 곳곳에 세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과학원과 영국 자연사박물관 등 국제 공동연구진은 지난달 27일(현지 시각) 이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에 게재했다. 연구진이 분석한 유리 구슬은 2020년 12월 중국 달 탐사선 '창어 5호'가 지구로 가져온 달 토양 샘플에 포함된 것으로 지름 1mm 미만의 100여개 유리 성분 물질이다. 

 

연구진은 과거 달에 운석이 부딪히면서 이같은 유리 구슬이 생성됐고 '태양풍'을 맞으면서 물을 함유하게 된 것으로 추정했다. 태양에서 흘러나오는 고에너지 입자인 태양풍에는 수소핵이 포함돼 있으며 수소핵은 달 표면 산소와 결합해 수소산화물 또는 물을 생성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 유리 구슬들은 달 표면 전체에 걸쳐 분포돼 있다. 또 최소 3억톤에서 최대 2700억톤에 달하는 물을 머금고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유리 구슬은 섭씨 100도 정도로 가열하면 물을 쉽게 추출할 수 있다. 연구진은 미래 달 탐사 시 잠재적 수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영구적으로 그늘진 분화구에 숨어 있는 얼어붙은 물과 달리, 달에서 작업하는 사람이나 로봇이 물을 추출하기 쉽다는 설명이다. 

 

달에서 물이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1990년대 클레멘타인 탐사위성을 통해 달 극지 분화구에 얼어붙은 물을 발견했다. 2009년 인도 달 탐사선 찬드라얀 1호는 달 먼지 표면층에서 얇은 물층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달 표면에서 발견된 물이 정확히 나오는지는 확인된 바 없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마헤시 아난드 영국 오픈대 행성과학·탐사학 교수는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연구 결과는 가장 흥미로운 발견 중 하나로 추출한 물을 상당한 양으로 농축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달을 탐사할 수 있는 잠재력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