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아르테미스2 임무를 수행할 우주비행사 4인조가 공개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은 3일 (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존슨우주센터에서 아르테미스 2 임무를 수행할 우주비행사 4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4명의 우주비행사에는 여성인 크리스티나 코크(44)와 흑인인 빅터 글로버(46), 베테랑 우주비행사 리드 와이즈먼(47), 캐나다 우주비행사 제레미 한센(47)이 뽑혔다. 여성과 흑인 우주비행사가 처음으로 달 궤도 비행에 나서게 되는 것이다. 달궤도를 비행하는 최초의 여성 코크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비행 엔지니어로 총 328일간 머물며 여성 우주비행사 최장기 체류 기록을 세운 바 있다. 최초의 유색인종인 글로버는 해군 조종사 출신이다. 그는 2020년 스페이스X의 크루 드래건을 타고 ISS에 도착해 우주정거장 20년 역사에서 첫 흑인 탑승자가 되기도 했다. 이번에는 파일럿 역할을 맡는다.
캐나다 육군 대령이자 전투기 조종사 출신인 한센은 캐나다를 대표해 우주비행에 처음으로 나선다. 또한 그는 캐나다인 최초로 NASA 우주비행사 교관을 지내기도 했다. 캐나다는 달 궤도에 설치될 우주정거장 '루나 게이트웨이'(Lunar Gateway)에 부착할 로봇팔인 '캐나담(Canadarm) 3'를 제공하기로 하는 등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팀장을 맡게 된 와이즈먼은 해군 조종사로 활동하다 2009년 우주비행사가 된 뒤 2014년 ISS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 한편 조종사 후보 중에는 2020년 NASA 우주비행사로 뽑힌 한국계 의사 출신 조니 김 씨가 포함돼 관심을 모았지만, 최종 선발 되지는 못했다.
이들은 2024년 11월 우주선 ‘오리온’을 타고 지구에서 약 40만㎞ 떨어진 달의 뒤편까지 비행한 뒤 유턴해 돌아온다. 총 비행 기간은 약 열흘이다. 달은 지구에서 38만㎞ 떨어져 있다. 인간이 이렇게 가깝게 달에 접근하는 건 반세기만이다. 해당 우주비행사들은 달에 착륙하지는 않는다. 2025년 월면에 여성과 유색인종 등 2명을 내려줄 아르테미스3 임무를 위한 ‘사전 연습비행’이 주된 임무다.
나사에 따르면 이들은 지구를 떠난 직후 선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을 제거하는 ‘생명유지장치’ 성능을 점검한다. 우주비행사가 쉬거나 말하거나 움직일 때 입과 코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가 선내에서 특정 농도 이상 올라가지 않는지 면밀히 살피는 것이다. 나사는 “생명유지장치가 잘 작동한다는 점을 확인한 뒤 달로 본격적으로 향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방사능 피폭에 긴급 대처할 수 있는지도 살펴본다. 태양 표면에서 갑자기 폭발이 발생해 방사능이 다량 방출된 상황을 가정한 훈련을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