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년 달 착륙' 확정
우주탐사 5300억원 투입

지난 5월 25일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32년 달 착륙선을 발사하는 등 우주탐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가 10년간 5300억원을 투입해 2032년 달 착륙선을 달에 보내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2023년 제12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열고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 사업’의 시행을 최종 확정했다. 이에 따르면, 2024년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5303억4000만원을 투입한다. 당초 2024년부터 9년간 6184억4600만원을 신청했으나 기간은 1년 늘고, 예산은 881억600만원 줄었다. 

 

달 탐사 2단계 사업은 1.8t급 달 착륙선을 독자 개발해 차세대발사체에 실어 달로 보낸 뒤 과학기술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정부는 달 착륙선에 앞서 연착륙 임무를 수행하는 달 연착륙 검증선은 2031년 발사하고, 달 표면 탐사 임무를 수행하는 달 착륙선을 2032년 달에 보낼 예정이다. 차세대발사체는 지난해 예타를 통과해 현재 개발 중이다.

 

달 상공 약 100㎞에서 달 관측임무를 수행하는 다누리 달 궤도선과 달리 달 착륙선은 달 표면에 착륙하게 된다. 또 다누리는 해외발사체에 실렸지만, 달 착륙선은 우리나라의 차세대발사체로 자력 발사할 예정이다. 발사부터 지구∼달 항행, 달 표면 착륙, 탐사까지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정부는 이번 달 착륙선 개발 과정에서 우주탐사선의 심장인 추진시스템과 장애물 탐지 및 회피 등 연착륙을 위한 핵심기술 등을 국산화해 독자적 달 탐사역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첫 시도 성공 확률이 낮은 달 착륙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 착륙 성능 시험설비 등 다양한 시험설비를 구축해 지상에서 충분한 시험과 검증을 거칠 예정이다. 현재까지 구 소련과 미국, 중국, 인도, 이스라엘, 일본 6개 중 중국만이 첫 시도에서 달 착륙에 성공했다. 

 

달 착륙선이 달에서 수행할 과학기술임무는 산‧학‧연 등 관계전문가의 의견수렴을 통해 우주탐사 로드맵을 수립해 확정한다. 이후 달 착륙선 탑재체를 공모하고, 2025년까지 탑재체를 선정해 별도사업으로 탑재체 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지구∼달 수송 및 달 자원활용을 위한 달 탐사 시장은 2040년까지 1700억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달 착륙·표면탐사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우주탐사 영역을 넓히고, 아르테미스 계획 등의 국제우주협력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위원회는 과기정통부의 △인공지능(AI) 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 사업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사업, 산업통상자원부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사업 △반도체 첨단 후공정(패키징) 선도 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벤처부 △지역특화산업육성3.0, 환경부 △탄소중립기술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평가·관리 기술개발사업 6개 사업을 올해 3차 연구개발 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