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의 목성 위성 유로파 탐사선 '유로파 클리퍼'가 15일 새벽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 NASA, space.com
목성의 위성 유로파를 탐사하기 위한 탐사선이 지난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는 유로파 탐사선인 '유로파 클리퍼(Europa Clipper)'를 스페이스X의 '팰컨 헤비(Falcon Heavy)'에 실어 미국 동부표준시간 14일 낮 12시 6분(한국시간 15일 새벽 1시 6분) 플로리다의 NASA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NASA는 로켓이 발사되자 “목성 위성 유로파의 얼음 지각 아래에 숨어 있는 거대한 바다의 신비가 밝혀진다”고 생중계를 통해 밝혔다. NASA와 스페이스닷컴은 실시간으로 발사 장면을 세계에 중계했다.
스페이스닷컴의 중계와 보도에 따르면, 팰콘 헤비 로켓의 2개 측면 부스터 엔진은 비행을 시작한 지 약 3분 후에 꺼지면서 로켓 중앙에서 분리됐고, 4분 후 2단계 추진체도 분리됐다. 유로파 클리퍼는 발사 약 58분 후 우주 궤도에 성공적으로 올라섰고 이후 임무 통제실과 교신도 마쳤다.
당초 유로파 클리퍼 발사는 지난 10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미국 플로리다주를 강타한 허리케인 밀튼의 영향으로 14일로 미뤄졌다. 유로파 클리퍼는 NASA가 진행하고 있는 가장 흥미진진하고 야심 찬 임무 중 하나다. 이 탐사선은 NASA가 행성 임무를 위해 제작한 우주선 중 가장 큰 것으로, 발사 당시 무게는 약 6000kg, 태양 전지판을 펼치면 길이만 약 30m로 농구장보다 크다.
우주선이 탐사하게 될 유로파는 목성의 4개의 갈릴레이 위성 중 하나다. 이곳은 과학자들이 지하에 소금기가 많은 액체 상태의 물이 흐르는 광대한 바다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는 얼음 위성으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높은 태양계 위성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2012년 초 유로파 표면에서 물기둥이 뿜어져 나오는 것이 포착되기도 했다.
보니 부라티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유로파 클리퍼 프로젝트 과학자는 지난달 "유로파에 생명체가 있다면, 그 생명체는 바다 밑에 있을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볼 수는 없을 것"이라며 "우리는 표면의 화학 물질, 생명의 전구체인 유기 화학 물질을 찾고 있기 때문에, 생명체 자체가 아니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과 생명체의 구성 요소에 대한 증거를 찾는 것이 목표가 된다"고 설명했다.
클리퍼는 또한 유로파의 얼음 껍질도 조사할 예정이다. 탐사선에는 가시광선 및 열 카메라, 여러 개의 분광기 등 유로파의 자기 환경을 조사하는 장비를 포함한 9개의 과학 기기가 탑재돼 있다. 이를 통해 유로파의 얼음 껍질의 두께를 파악하고, 유로파의 바다가 표면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조사할 예정이며, 유로파 바다의 구성을 조사하여 생명체가 살고 지속할 수 있는 성분이 있는지 확인하고 유로파 지각의 최근 활동의 흔적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유로파 클리퍼는 2030년 4월에 목성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며, 2031년 5월부터 49회의 근접 비행을 진행하며 유로파 표면 위 25km 높이까지 다가갈 예정이다. 유로파 클리퍼의 임무 종료는 2034년 9월로 정해졌다. NASA는 이 우주선을 목성의 또 다른 갈릴레이 위성인 가니메데에 충돌시키며 임무를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