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발사를 위해 발사대로 이동하고 있는 누리호. 민간 우주산업 생태계 유지를 위해 추가 발사가 빨리 확정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작은 사진은 '2025 우주정책 포럼'에서 이같은 주장을 하고 있는 진승보 항우연 발사체연구소 연구조정실장. / 항우연, 연합뉴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추가 발사 계획을 서둘러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왔다. 누리호 개발에 참여한 300여 기업들이 기술 역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생산 물량을 보장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손재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회장(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27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열린 ’2025 우주정책 포럼’에 참석해 “발사체 산업의 지속성을 위한 방안, 민간 우주산업 지원 전략 등에 대해 폭넓은 논의가 필요하다”며 “특히 누리호 개발에 참여한 300여 기업 중 규모가 작은 기업들이 추가 과제가 없다 보니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우주항공청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누리호는 올해 11월 4차 발사를 앞두고 있다. 이어 2026년과 2027년에 한 차례씩 추가 발사가 예정돼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4차 발사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함께 누리호 개발, 제작을 맡는다. 정부는 누리호 반복 발사를 통해 발사체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기술을 민간에 이전해 국내 발사체 산업 생태계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6차 발사 이후에는 추가 발사 계획이 없다는 점. 진승보 항우연 발사체연구소 연구조정실장은 “후속 물량 부재로 생산이 중단될 경우 현장 인력과 장비의 이탈로 기술역량이 소멸될 수 있다”며 “민간의 주도적 투자를 위해 최소한의 생산물량 보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진 실장은 "(누리호 활용화 사업) 사전기획에서 2031년 초소형 위성 5기 수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2031년까지 4번의 추가 발사를 고려해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2028년과 2029년 주탑재위성 추가 수요를 발굴하고 2030년 6G 위성 2기, 2031년 국정원과 협의를 통한 초소형군집위성 5기를 탑재한 채 누리호 발사가 가능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또 “2027년에는 추가 발사 사업에 착수해 구성품 제작과 발사 공백 기간을 최소화해야 지속가능한 발사체와 산업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다"고 말했다.
누리호 개발에 참여한 기업 관계자들도 후속 사업이 너무 늦다고 지적했다. 방정석 비츠로넥스텍 상무는 “우리는 누리호 고도화사업에서 엔진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데, 올해 상반기면 제작이 모두 끝날 것으로 보인다”며 “새로운 발사체 제작 사업이 시작되지 않으면 기업 입장에서는 미리 투자해놓은 부분이 모두 비용이 돼 적자가 된다”고 말했다. 누리호의 탱크 등을 제작하는 두원중공업 정해용 이사도 “누리호 개발 중간에 공백이 발생하면 기술단절과 노후화, 인력 유출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며 “누리호 고도화사업 전에 있던 공백 때문에 협력업체 중에는 사업을 포기한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노경원 우주청 차장은 “우주산업과 관련해 시장 조성자로서 정부의 역할 강조하는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을 방안을 차기 국가우주위원회에서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