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스타십 또 폭발!
7차와 판박이 8차 발사[사진]

스페이스X, 오늘 오전 8차 시험비행... 또다시 '절반의 성공'
1단 로켓 젓가락팔 착륙 성공... 우주선은 9분만에 통신두절, 폭발

거대 로켓 스타십이 스타베이스 발사대에서 힘차게 발사되고 있다. / spaceX

발사 2분 40초 뒤에 정상적으로 1단계 로켓과 2단계 우주선이 분리되고 있다. / spaceX

1단계 로켓 부스터 슈퍼 헤비가 젓가락 팔에 안전하게 포획되는 방식으로 착륙하고 있다. / spaceX

발사 9분이 지난 무렵, 스타십과 스페이스X의 교신이 두절됐고, 직후 고도가 하락하기 시작했다. / spaceX

공중 폭발한 스타십의 잔해가 지상을 향해 비행하듯 낙하하고 있다. / space.com

 

메가로켓 스타십의 8차 시험비행이 7차 시험비행처럼 폭발로 막을 내렸다. 1단계 로켓 부스터의 젓가락 팔 포획은 성공하고 2단계 우주선은 공중폭발한 것까지 두 차례의 시험비행은 판박이처럼 비슷했다.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는 한국시간 오늘 오전 8시 30분에 지상 최대의 로켓인 스타십(Starship) 8차 시험발사를 시작했다. 미국 동부표준시로는 6일 오후 6시 30분의 일이다. 텍사스 남부 보카치카 해안의 스페이스X 발사기지 스타베이스에서 발사된 이번 비행은 성공하는 듯 보였다. 

 

스타십의 1단 로켓 부스터인 슈퍼 헤비(Supwr Heavy)는 발사 후 2분 40초에 2단계 우주선인 스타십(the Ship)과 분리하는데 성공했고, 발사 7분 뒤에는 안전하게 스타베이스로 귀환해 메카질라라는 이름의 '철제 젓가락 팔'에 포획되는 방식으로 착륙해 연구팀과 관제사 등 지상팀을 환호하게 했다. 이번이 벌써 세번째 젓가락 착륙 성공이다. 

 

원래의 계획을 담고 있는 스페이스X가 제작한 스타십 8차 시험비행 개념도. / spaceX, cosmos times

 

이제 스타십 우주선의 비행만 안전하게 진행되면 되는 상태. 52m에 달해 100명이 탑승할 수 있는 우주선은 대서양을 향해 남동쪽으로 비행하기 시작했다. 계획에 다르면 이륙 15분 30초쯤 뒤에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인터넷 위성 시뮬레이터 버전인 4개의 페이로드를 준궤도에 배치하고 50분 뒤 서호주 앞바다 인도양에 스플래시다운 하는 것으로 미션을 완료해야 했다. 

 

그런데, 그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스타십의 6개 랩터 엔진 중 일부가 상승비행이 끝날 무렵 이상을 보이기 시작했고, 우주선은 하강하기 시작했다. 스타십은 비행 약 9분만에 스페이스X와의 교신이 끊겼고, 그 직후 하늘 높은 곳에서 폭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시간이 조금 더 지나면서 스페이스닷컴의 동영상이나 X에 이 우주선의 파편들이 플로리다 남부와 바하마 인근 하늘에서 떨어지며 별똥별처럼 빛나는 모습이 다수 올라왔다.

 

1시간 6분 동안 진행될 예정이었던 8차 시험비행은 이렇게 조기 종료됐다. 스페이스X는 소셜미디어 X를 통해 “스타십의 상승 연소 도중 예정되지 않은 급속한 분해(rapid unscheduled disassembly)가 발생했다”면서 “우리는 즉시 안전 당국과 협력해 사전에 계획된 비상 대응을 실행했다”고 공개했다. 이어 “오늘의 비행은 스타십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교훈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은 1월 16일 발사된 스타십 7차 시험비행과 너무나 비슷했다. 스페이스X의 라이브 해설팀은 "분명히 거쳐야 할 일이 많고, 파헤쳐야 할 일이 많으며, 우리는 바로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달 착륙에 도전하는 아르테미스 3호 미션에 맞춰 새롭게 설계된 스타십에 대해서는 아직 배울 것이 많다고도 했다. 

 

스페이스X는 7차 시험비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적 엔진 발사 테스트를 추가하는 등 여러가지 안전조치를 취했고, FAA의 발사 승인을 받기 위해 노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다시 사고가 되풀이됨으로써, 스페이스X는 커다란 위기에 직면했다. 아직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알지 못하지만, 해외언론과 관계자들은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스페이스X는 2025년에 스타베이스에서 25번의 스타십 발사 승인을 요청해 놓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