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대에서 열린 항공우주 최고위과정 3기 입학식. / 한국항공대
한국항공대학교가 항공우주 산업의 미래를 이끌 최고 경영자 양성에 나섰다.
한국항공대는 3월 19일 교내 비전홀에서 ‘항공우주 최고위과정(AABP, Advanced Aerospace Business Program)’ 3기 입학식을 열고 본격적인 교육 과정에 돌입했다고 최근 밝혔다.
항공우주 최고위과정은 2023년 처음 개설된 이래, 정부와 산업계의 고위 인사들을 대상으로 항공우주 분야에 특화된 전략적 교육을 제공해 왔다. 해당 과정은 정부·산업계·학계 간의 소통 창구로서, 항공우주산업이 직면한 주요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업계 전반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전 국토교통부 차관인 여형구 석좌교수가 책임교수를 맡아 교육의 깊이를 더했다.
이번 3기에는 아시아나항공 송보영 대표이사를 비롯해 국내 항공우주 분야를 대표하는 기업과 기관의 최고경영자 26명이 참여했다. 교육은 3월부터 8월까지 총 6개월간 진행되며, 매주 수요일 오후 7시 교내에서 열리는 정규 강좌를 중심으로 국내외 워크숍, 산업 현장 시찰 등의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참여자들은 전문 강사진으로부터 항공우주 산업의 정책 동향, 기술 발전, 디지털 전환, 경영전략 등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학습하게 된다. 올해 프로그램은 총 21개 강좌로 구성됐으며, 주제는 △정책 △현안 △기술 △디지털전환 △비즈니스 인사이트 등 5개 분야로 구분된다.
강사진은 항공우주 각 분야에서 권위를 인정받은 인사들로 꾸려졌다. 대한항공 우기홍 부회장, 인천국제공항공사 이학재 사장, 델타항공 제프 무모우(Jeff Moomaw) 부사장, 국토교통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 우주항공청 노경원 차장 등 국내외 주요 인사들이 강단에 선다.
한국항공대는 AABP 과정을 통해 산업 현장의 리더들이 실질적인 전략을 공유하고, 국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한국항공대 측은 “항공우주 산업은 기술 집약적이고 고부가가치 산업인 만큼, 이를 이끌 경영자의 통찰력과 정책적 안목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국내외 리더들과 함께 업계의 발전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