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
軍-기업 협력 "北 감시 강화"

한화시스템-KAI, 정찰위성 제작-시험 등 개발 중추적 역할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를 탑재한 팰컨9 로켓이 성공적으로 발사돼 1, 2단 로켓의 분리(가운데 사진)되고, 위성 분리까지 성공했다. / spaceX

 

“군 정찰위성 4호기가 22일 10시 3분경 발사체와 성공적으로 분리되어 목표궤도에 정상 진입했다.”

 

국방부가 긴박한 오전시간을 보내며 조금 전 공식적으로 정찰위성 4호기의 발사 성공을 선언했다. 우리 군의 정찰위성 4호기는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에 실려 한국시간 22일 오전 9시 48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 미국 동부표준시로 21일 오후 8시 48분에 해당한다. 

 

어둠 속에서 발사된 팰컨9 로켓은 예정대로 순조롭게 솟아올랐으며 발사 2분 20여초 뒤 1단 로켓과 2단 로켓의 분리가 이뤄졌고, 10여초 뒤에 우리 군 위성을 포함한 여러개의 페이로드를 분리해 궤도에 배치하는 작업을 진행했고, 국방부에 따르면 로켓에서 분리된 우리 군 정찰위성은 목표궤도에 정상적으로 배치된 것이다.  팰컨9의 1단계 로켓은 발사 약 8분뒤 성공적으로 수직 착륙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우리 군은 이후 지상국과의 교신을 통해 위성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한화시스템과 한국항공우주산업 KAI가 개발과 위성본체 제작을 주도한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에 성공함에 따라, 우리 군은 2024년 8월 전력화를 완료한 1호기, 전력화 정상 진행 중인 2~3호기와의 군집 운용을 통해 북한의 도발징후를 더욱 정확하고 빠르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정찰위성 4호기 발사는 2015년부터 올해까지 총 1조3000억원을 투입해 한반도와 주변을 감시하는 목적으로 '정찰위성 5기'를 띄우는 '425 사업'의 일환이다. 사업명은 정찰위성에 탑재되는 합성개구레이더(SAR)와 전자광학·적외선센서(EO·IR)의 약자(SAR+EO)를 붙인 것이다.

4호기는 SAR를 장착해 주야간 24시간, 비·구름 등의 악천후 조건에도 초정밀 촬영이 가능하다. SAR는 일반 카메라와 달리 마이크로파를 지상으로 쏘고 지상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사물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상도는 가로·세로 30㎝ 크기의 지상 물체를 하나의 픽셀로 인식하는 수준이다.

EO·IR를 장착한 1호기는 2023년 12월 발사돼 지난해 8월 전력화됐고, 2·3호기는 지난해 4월과 12월 각각 발사돼 현재 전력화를 진행 중이다. 2호기부터는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한 SAR를 탑재해 보다 정밀한 감시·정찰이 가능하다.


국방부와 방위사업청 등은 올해 안으로 EO·IR 위성 1기, SAR 위성 4기를 발사한다. 정찰위성 5기가 실전 배치되면 북한 내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정찰할 수 있게 된다. 그간 정찰위성 1~3호기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집무실이 있는 평양 중심부를 촬영해 지상국으로 사진·영상을 전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화시스템은 이날 발사에 성공한 정찰위성 4호기의 핵심 장비인 'SAR 탑재체'를 자사 기술로 제작해 공급했다고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발사 성공 직후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발사 성공으로 다시 한번 독보적인 SAR 위성 기술력을 증명해냈다"고 자평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도 "KAI가 개발 전반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으로, 위성 개발 역량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각 위성은 시스템·본체와 SAR 등 탑재체로 이뤄지는데, 본체는 KAI가 2018년부터 국방과학연구소(ADD)와 위성체 시제 제작 계약을 통해 개발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