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땅콩같은 소행성이네~"
NASA 루시, 도널드요한슨 촬영

 

Gif of Asteroid Donaldjohanson, as seen by the Lucy spacecraft during its close flyby. The asteroid looks like two lobes, attached by a thinner cylinder, like a barbell with very large weights. One lobe is smaller than the other. Although they are both about the same circumference, the smaller lobe is less wide than the other. The asteroid is a smooth, light gray surface, with smooth-edged craters dimpling its surface. The larger lobe has many more craters. The asteroid moves closer to the camera, pushing in on the larger lobe. Then it rotates slightly to look along the asteroid long-ways.

NASA의 소행성 탐사선 '루시'가 근접촬영을 통해 포착한 '도널드요한슨' 소행성의 특이한 모습. / NASA, Goddard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소행성 탐사선 ‘루시(Lucy)'가 길쭉한 형태의 희한하게 생긴 소행성을 포착했다.

 

지구에서 2억3000만km 떨어져 있는 소행성 '도널드요한슨(Donaldjohanson)'을 만나 근접비행하면서 촬영을 했고, 그 결과, 루시가 항행하면서 두번째로 만난 이 소행성은 땅콩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현지시간 21일 NASA가 이미지를 공개하면서 한 설명에 따르면, 루시는 지난 20일 오후 1시 51분(한국시간 21일 오전 2시 51분) 화성~목성 사이 소행성대의 도널드요한슨 소행성에 960km까지 접근하면서 근접촬영했다. 그 결과 이 소행성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게 됐다. 

 

일반적인 소행성이 감자 같이 울퉁불퉁한 덩어리형태를 지닌 것에 비해 도널드요한슨은 껍질을 벗기기 전의 땅콩같은 모습이다. 약 1억5000만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도널드요한슨은 길이 8km, 너비 3.2km로 기존 추정치보다는 큰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오래전 두 천체가 충돌하면서 이런 모양이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루시 프로젝트 수석 연구원인 할 레비슨은 “도널드요한슨은 지질 구조가 놀라울 정도로 복잡하다”면서 “이 구조를 연구하면 태양계 행성들을 형성한 구성 요소와 충돌 과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루시가 포착한 소행성 딘키네쉬와 위성 셀람. / NASA, Goddard


앞서 루시는 2023년 11월 소행성 ‘딘키네쉬(Dinkinesh)'와 초미니 위성 ‘셀람(Selam)'을 근접 비행하며 촬영한 바 있다. 루시가 소행성을 촬영한 첫 사진으로 이번 도날드요한슨은 16개월 만에 이루어진 두번째 촬영사진이다. 


NASA는 소행성 탐사선 루시를 아직 한 번도 탐사되지 않은 목성 주변 소행성군(群)인 ‘트로이 소행성(Jupiter Trojan asteroids)' 탐사를 위해 2021년 10월 16일 발사했다. 루시는 12년에 걸친 긴 여행 동안 총 64억㎞를 비행하며 주 소행성대와 목성의 트로이 소행성을 관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