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3200억 투자,
저궤도 위성통신 6G시대 연다

과기부-우주청, 3개 세부과제별 주관연구 기관 선정
ETRI, 쏠리드, KAI 등 3개 기관 분야별로 맡아 개발 작업

KAI가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운용한 다목적 실용위성 1호. KAI는 정부의 6G 위성통신 사업에서 본체-체계종합을 맡게 됐다. / KAI

 

정부가 6세대 이동통신(6G)의 핵심기술로 꼽히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사업에 돌입했다. 탑재체 및 지상국 핵심기술을 자립화하고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위성통신 시장 공급망 진출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주항공청과 6G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3개 세부과제별 주관연구개발 기관을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사업은 지난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2030년까지 총 3200억원(과기정통부 2040억원, 우주항공청 946억원, 민간투자 197억원) 규모로 추진된다. 통신위성(2기)과 지상국·단말국으로 구성된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구축이 골자다.

구체적으로 통신탑재체·지상국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단말국은 쏠리드, 본체·체계종합은 한국항공우주산업 KAI가 각각 주관연구개발기관을 맡는다.

통신탑재체는 본체에 탑재돼 위성 간 통신, 위성과 지구국·단말간 통신을 제공한다. 지상국은 통신위성과 지상국간 무선연결(피더링크)을 제공하고 사용자와의 망접속 지원, 위성 임무제어 등을 한다. 단말국은 통신위성과 단말국간 사용자 연결을 제공하는 모뎀과 같은 역할이다.

위성시스템 및 체계종합과 같은 대규모 시스템 개발사업의 경우 각 연구기관간 긴밀한 협력관계가 필수적이다. ETRI가 총괄기관을 맡아세부 개발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김남철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이번 사업은 신규 기술 개발도 있지만 이미 개발된 부품이나 시스템을 저궤도 위성통신에 탑재해서 검증하고 실증하는 작업도 진행한다"며 "올해에만 250억원 넘는 자금을 투자, 본격적인 연구 개발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국제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에 대한 집중적인 R&D 투자를 통해 산업 경쟁력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통신 표준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방식 중계기 등 탑재체 부품을 개발, 저비용 상용부품(COTS) 활용으로 가격경쟁력 확보할 계획이다. 위성 부품 우주검증이력 확보로 해외진출 조건을 충족하고 양산 단계에서 비용 절감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도 병행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개발이 위성통신 서비스 뿐 아니라 우리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진출 기반 마련에 기여할 수 있다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동통신, 위성통신 단말 및 지상국, 정찰위성 및 전투기 등 방산분야에서 축적한 경쟁력을 저궤도 위성통신까지 확장함으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다는 목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에 대한 R&D 투자를 통해 국내 위성통신 분야 산업 경쟁력을 높여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이동·위성통신 부품기업들의 참여를 확대해 핵심기술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출연연구소의 축적된 기술을 민간에 적극적으로 이전·확산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우리나라 우주항공 산업생태계 경쟁력 확보의 중심은 기업"이라며 "우주청은 민간 주도의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 활용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적극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