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일 슈퍼문, 31일 블루문
슈퍼문의 원리, 궁금하죠?

8월 30일 포르투갈에서 슈퍼문을 즐기는 사람들. 한달에 두번 슈퍼문이 뜰 때, 두번째 달을 블루문이라고 한다. / 연합뉴스

 

8월 1일, 31일 두 번 뜨는 슈퍼문. 2023년 8월은 특이하게도 슈퍼문이 두번 뜬다. 31일 밤에는 블루문. 한달에 두번 슈퍼문이 뜰 때 뒤의 달을 블루문이라고 한다. 

 

달과 지구의 거리는 조금씩 변하는데, 가까워지면 당연히 달이 더 크게 보인다. 비록 타원궤도이긴 하지만 거의 원 같은 달궤도를 감안하면 그다지 큰 변화는 아니지만, 명백히 크고 밝아진다. 이렇게 커진 달을 흔히 ‘슈퍼문(super moon)’이라고 하고, 이 슈퍼문은 1년에 3, 4차례 관찰된다.

 

2023년은 4번 슈퍼문이 뜨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는데, 지난 7월 3일 밤 첫 번째 슈퍼문이 떴다. 그리고 8월 1일과 31일, 9월 29일에 슈퍼문을 볼 수 있다. 그러니까, 이번 8월에는 슈퍼문이 2번 뜨고, 아주 특이한 경우로, 이를 따로 ‘블루문(blue moo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반대로 가장 작게 보이는 달을 ‘미니문(mini moon)’ 혹은 ‘마이크로문(micro moon)’이라고 부른다. 

 

31일에 뜬 이번 '슈퍼' 블루문은 2018년 1월 31일에 뜬 뒤로 5년 만이며, 다음 슈퍼 블루문이 뜨는 날은 2037년 1월 31일이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14년을 기다려야 한다.

 

1일 밤에는 보름달이 지구와 35만730km 떨어진 거리에 떴다. 평소 거리(38만 5000km)보다 가까워 밝고 큰 보름달이다. 달은 지구의 궤도를 도는 동안 지구와의 거리가 약 35만~40만km 사이에 위치하는데 그 거리가 짧을 때 슈퍼문이 뜨게 된다. 슈퍼문은 평소보다 15% 정도 크고 30% 정도 더 밝다

 

외신보도에 따르면, 가상 망원경 프로젝트(Virtual Telescope Project)의 설립자인 이탈리아 천문학자 지안루카 마시(Gianluca Masi)에 따르면, “같은 달에 두 개의 슈퍼문이 마지막으로 하늘을 장식한 것은 2018년이었다. 이는 2037년이 되어야 다시 일어날 것”이라며 “화요일에 일어날 아름답고 감동스러운 슈퍼문을 로마 콜로세움 위에서 함께 볼 수 있도록 라이브 웹캐스트를 제공할 것(UTC time)”이라고 밝혔다.

 

NASA 천체 물리학자 프레드 에스파낙(Fred Espenak)은 “2023년 7월 슈퍼문은 일반적인 보름달보다 5.8% 더 크고 12.8% 더 밝았다. 2023년 8월 1일의 슈퍼문은 크기가 7.1% 증가하고 밝기가 15.6% 증가하여 더 크고 밝을 것”이라며 “맑은 하늘, 쌍안경 또는 뒤뜰 망원경을 통해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달의 바다(고대 화산 용암 흐름에 의해 형성된 어두운 평원) 및 달 분화구에서 방출되는 광선과 같은 특징을 드러낸다”고 말했다.

가장 크게 보이는 슈퍼문과 가장 작게 보이는 마이크로문의 크기차이는 7%가 넘는다. / NASA

 

도대체 슈퍼문이 뭘까?

 

달은 지구를 타원 궤도로 돌기 때문에 달과 지구의 거리가 멀어졌다 가까워졌다를 되풀이 한다. 그 중에서도 달과 지구, 태양이 일직선에 가깝게 되는 경우, 달이 가장 커다랗기 때문에 ‘슈퍼문(super moon)’이라고 부른다. 그렇지만, 슈퍼문은 천문학적이라기보다는 점성술에서 사용하는 말에 가깝다.

 

그렇다면 천문학적 용어는 어떻게 규정되고 있을까.

 

영어단어로 표현하면, ‘perigee syzygy (of the Earth–Moon–Sun system)’가 가장 완결성이 크다. ‘perigee’는 근지점, 즉 가장 가까운 지점을 뜻하고, 근일점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그러나 태양과의 거리보다는 지구와 달의 거리가 핵심이기 때문에 근지점이라고 하는 것이 타당하다. ‘syzygy’는 삭망(朔望)이라고 보면 된다. 그믐달이 되거나 보름달이 되는 것, 즉 해와 지구, 달이 일직선이 되는데,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끼이거나 지구 밖 쪽으로 서는 위치에 있는 것을 뜻한다. 그러니까, 달의 근지점 중 바깥쪽에 위치한 경우가 ‘슈퍼문’이 된다.

 

이와 반대되는 원지점 보름달을 ‘마이크로 문(micro moon)’이라고 부르는데, 천문학 용어로 하면 ‘apogee syzygy’라고 한다.

 

참고로 슈퍼문이라는 용어는 점성술사 리처드 놀이 1970년대에 이름붙인 것으로, 일관되고 명확한 정의는 없다. “지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할 때 또는 그 근처 90% 이내에 있을 때 생기는 보름달로 지구, 달, 태양은 모두 일렬로 있고, 달은 지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한 상태다”라고 리처드 놀은 설명하고 있다. 2011년 그는 ‘368,630km보다 더 가까운 달의 모습’이라고 슈퍼문을 좀더 과학적으로 정의하기도 한다(Richard Nolle, 2011, Supermoon, What It Is, What It Means).

 

슈퍼문과 관련된 사소한 사실들(trivia)을 몇가지 더 덧붙인다.

 

▶매년 보통 3개 또는 4개가 슈퍼문으로 분류될 수 있다.

▶2016년 11월 14일의 슈퍼문은 1948년 1월 26일 이래로 가장 가까운 완전한 형태였고, 2034년 11월 25일까지 이만한 슈퍼문은 없을 것이다.

▶때때로 슈퍼문은 개기 월식과 일치하는데 가장 최근에 발생한 것은 2022년 5월이었고, 다음은 2032년 10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