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4일 오전 7시 32분,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한국으로서는 기념비적인 우주선 발사가 있었다. 한국 첫 초소형 군집위성 네온샛 1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된 것이다. 미국 우주기업 로켓랩의 '일렉트론'에 실려 우주로 날아갔다. 공식명칭은 '초소형 군집위성 1호'이고 '네온샛'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네온샛 1호는 발사 약 4시간 반만인 오전 11시 57분쯤 대전 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 간 첫 교신을 완료했다. 항우연 지상국을 통해 수신된 위성 정보 분석 결과 네온샛 1호의 태양전지판이 정상적으로 전개돼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하는 등 위성 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다. 추가적으로 오후 2시 13분, 오후 3시 44분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교신한 결과, 양방향 교신이 정상적으로 이뤄져 위성 발사가 성공했음을 확인됐다. 초소형 위성군집시스템 개발사업은 KAIST가 총괄하는 사업으로, KAIST가 ㈜쎄트렉아이와 함께 위성시스템을 공동 개발하였으며, 항우연이 국내 다수 우주기업과 함께 지상시스템‧검보정 및 활용시스템을 개발했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우주개발이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넘어가는 '뉴스페이스' 기조에 맞는 위성으로 국내 발사체
일론 머스크가 만든 미국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는 최종적으로 화성 테라포밍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달에 우주기지를 만들어서 그곳을 베이스로 화성 탐사를 늘려가다가, 궁극적으로 화성 기지를 구축한 뒤, 화성으로 많은 인류가 집단이주하는 것이 그 개요다. 그 과정에 필수적인 것이 '화성의 지구화', 바로 테라포밍이다. 최근 스페이스X의 초대형 로켓, 인류최강 최대라는 '스타십' 시험발사가 계속되면서 전세계적인 관심이 뜨거워진 화성은 태양계의 행성 중 지구에 가깝고, 크기도 지구와 비슷하면서 중력의 정도도 비슷하다. 아주 오래전에는 지구와 유사한 환경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따라서 지구 같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래의 지구가 인구증가와 자원고갈로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이 된다면, 인류의 화성 이주는 불가피한 선택이 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더라도, 그런 정도의 한계상황을 상정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추구하는 것은, 나빠지는 지구환경 속에서 인류의 생존이 가능한 방법을 찾는 우회로가 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화성의 지구화' 연구는 인간의 그다지 멀지않은 미래를 대비하는 중요한 방법임에 틀림없다. 화성의 테라포밍, '녹색화성 만
달에는 아주 많은 '바다' 지형과 크레이터들이 있다. 달의 지형 가운데, 짙게 검은 평원처럼 보이는 곳들이 대체로 바다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크레이터는 충돌구라고 변역되는데, 달이 생성될 무렵은 물론 그 이후에도 수많은 운석이나 소행성들이 달 표면에 충돌했고, 그 충격으로 인한 구덩이들이 여기저기 생겼다. 사실은 바다들도 크레이터와 같은 출발점을 갖고 있다. 달의 내부지각이 용해돼 크레이터들을 메우면서 광대한 평원지대가 형성된 것이 '바다'이기 때문이다. 달에 있는 '바다'라는 이름이 생긴 것은 요하네스 케플러 덕분. 달의 어두운 부분을 망원경으로 관찰하고, 그곳에는 물이 가득 차 있을 것으로 생각해 바다라 명명했고, 갈릴레오 갈릴레이도 같은 생각이었다. 그러나 후대에 과학이 발달하고 달 표면에 직접 사람이 가게 되면서, 그곳에 물이 없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바다'라는 이름은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달에 있는 수많은 바다는 대부분 달의 앞면에 있다. 전체의 84%가 앞면에, 16%만이 뒷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있다. '바다'들은 전반적으로 평평한 곳이기 때문에 탐사선이 착륙하거나 달 기지를 짓는 데 적합하다. 실제로 아폴로11호가 착륙한 곳은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