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특성 중 하나로 꼽히는 무중력 상태. 달은 어떨까. 지구와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이지만, 당연히 달에도 중력은 있다. 우주 유영하듯 겅중겅중 뛰어다닐 수는 있지만, 묵직한 우주복을 입으면 찬찬히 걸어다닐 수도 있다. 달의 중력이 만들어 내는 신기한 현상이 있다. '매스콘'이다. 1972년 4월 24일, 아폴로 16호는 지구로 귀환하기 전에 PFS-2라는 보조 위성을 달 궤도에 띄웠다. 8개월 전 아폴로 15호가 띄운 PFS-1과 함께 달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PFS-2는 달 표면에서 89~122km 정도의 저궤도로 운행하게 되었는데, PFS-2를 궤도에 띄우자마자 일정하게 궤도를 돌지 못하는 이상현상이 발생했다. 발사한지 3일이 지나선 달 표면으로부터 10km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그리고, 마침내 발사 한 달쯤 지난 5월 29일, PFS-2는 달 표면으로 추락해 버리고 만다. 위성을 떨어뜨린 힘은 과연 무엇일까? 달의 중력 지도. 왼쪽이 달의 앞면, 오른쪽이 달의 뒷면이다. / NASA 중력이 균질하지 않은 달, 그 정체는 ‘매스콘’ 이러한 비밀을 풀기 위해 1998년 1월부터 '루나 프로스펙터(Lunar Prospector)' 임무가 수행
달 미술관(Moon Museum) / MoMA 아폴로 12호, 루나 5호, 서베이어 3호, 레인저 7호… 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폭풍의 바다에 위치한 서베이어 크레이터 근처에 착륙한 우주선이라는 점이다. 아폴로 12호가 착륙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역사적 의미가 있는 장소다. 그런데, 아폴로 12호에는 한 가지 비밀이 있었으니, 착륙선 다리에 달로 간 최초의 예술작품이 ‘미개봉’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는 점이다. '달 박물관(Moon Museum)'. 그 예술작품의 이름이다. 달로 간 최초의 예술작품은 미국의 조각가 포레스트 마이어스가 제작한 ‘달 박물관'이다. 이 작품은 포레스트 마이어스를 포함하여 팝아트의 거장 앤디 워홀, 청계광장에 위치한 다슬기 모양의 작품 ‘스프링’을 만든 클래스 올덴버그 등 당시 최고의 예술가 6명이 모여 만들었다. 추상 표현주의의 활력과 팝 아트의 언어를 결합한 존 체임벌린, 다양한 형태의 캔버스에 기하학적 구조를 그리는 데이비드 노브로스, 생활과 예술의 결합을 추구하는 컴바인 페인팅 화가 로버트 라우센버그도 참여했다. '달 박물관'은 우표보다 작은 세라믹 칩에 각자의 작품을 빼곡히 담아 완성한 것이 특징이다. 마이어스는 먼저
신비롭게만 생각하던 달이 점점 사람들에게 친근하고 익숙한 장소가 되고 있다. 이제 몇년이 지나면 달에 사람들이 빈번하게 오가게 되고, 결국 달에 주거단지도 생기게 된다. 그런데, 1960~1970년대에 사람이 달에 착륙하기 시작했고, 최근 달 착륙이 경쟁적으로 이뤄지면서 하나둘씩 기념할만한 장소들이 생겨나고 있다. 그중에는 우주탐사를 위해 헌신하다 산화한 '우주영웅'들을 기리는 곳도 있다. 달에 있는 '비의 바다' 근처 아폴로 15호 착륙지점인 '해들리 아펜닌(Hadley Apennine)'. 이 지역에서는 아폴로 15호의 여러가지 임무가 진행되었는데, 한 가지 비공식 임무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비공식 임무 덕분에 가까운 미래에 달 여행객들 사이에서 이곳이 ‘인증샷 맛집’이 될 것이라고 점쳐지고 있다. 과연 무슨 비공식 임무가 있었길래 인증샷을 찍기 좋다는 것일까? 당시 아폴로 15호의 임무 사령관이었던 데이비드 스콧은 임무 도중 우주탐사 발전 과정에서 목숨을 잃은 우주비행사를 추모하기 위해 이들의 이름이 새겨진 명판과 ‘추락한 우주비행사(Fallen Astronaut)’라는 이름의 조각상을 달에 놓아뒀다. 인류가 달에 도달할 수 있었던 것은 이들의 도움
'롱기누스의 창'을 아는가. 예수의 성혈 전설과 함께하는 창이다. 라틴어로 Lancea Sancta, Lancea Longini라고 하고 영어로는 Holy Lance, Lance of Longinus, Spear of Destiny라고 불린다. '성스러운 롱기누스의 창'이라는 뜻이다. 성경의 요한복음 19장에는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의 옆구리를 창으로 찔러 그의 죽음을 확인하는 장면이 나온다. 여기에 창으로 찌른 로마병사의 이름이 언급되지는 않지만, 외경 버전에는 롱기누스라는 이름이 등장한다. 그는 눈에 병이 있었는데, 예수의 옆구리에서 흐른 피를 눈에 바르자 시력을 되찾게 되었다. 감동한 롱기누스는 변심하고, 예수의 복음을 전하는 사람이 되었고, 전도하다가 순교당한다. 성 론지노, 예수를 찌른 로마병사는 훗날 성인이 되었다. 이 롱기누스의 창은 후대에 걸쳐 신화와 전설로, 문화콘텐츠로 변주되며 거듭 등장하게 된다. 성혈이 묻어 성스러운 힘을 지니게 되자 역사 속 악당들이 그 창의 힘을 얻기 위해 탐사하는 것이 대표적인 콘텐츠다. 그리고, 저 유명한 '신세계 에반게리온'에도 등장한다. 3세대 애니메이션의 걸작으로 꼽히는 '에반게리온'에서 '궁극의 무기'로 불리
우리는 달의 앞면만을 볼 수 있다. 달의 자전과 공전 주기가 같기 때문. 매일밤 바라보는 달의 앞면 중에서도 눈에 아주 잘 띄는 크레이터가 있다. '티코 크레이터(Tycho Crater)'다. 슈퍼문이라도 뜨는 날이면 찬찬히 눈으로 살펴보기만 해도 구별해 낼 수 있고, 보통 때라도 쌍안경만 있으면 얼마든지 관찰할 수 있다. 그러니,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할 수밖에. 작은 구멍처럼 보이는 티코 크레이터는 사실 85km의 거대한 크기에 150km에 달하는 레이 시스템이 있는데다 달에서 가장 밝은 충돌구/분화구 중 하나다. 레이 시스템은 충돌 크레이터가 생길 때 튀어나온 분출물 자국이다. 이 티코 크레이터가 어떻게 우리 인간의 상상력 속으로 녹아들었는지 살펴보자. ▶소설 속 티코 우주와 미래세계를 다룬 SF장르에서 '세계 3대 거장'이라고 불리는 작가들이 있다. 로봇 관련 콘텐츠에 꾸준히 등장하는 ‘로봇의 3원칙’을 만든 아이작 아시모프,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를 집필해 이견없이 거장의 반열에 오른 아서 C. 클라크, 그리고 밀리터리 SF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로버트 A. 하인라인이다. 하인라인은 1940년 단편소설 <폭발은 일어난다(Blowups Hap
달에도 산이 있다. 아폴로11호의 착륙을 비롯해 많은 달 탐사와 연구, 영화 등을 통해 '달의 바다'들에는 익숙하지만 달의 산은 낯설다. 그렇지만 움푹한 곳이 있으면 솟아오른 곳이 있게 마련. 다만, 지구에서의 산은 대체로 지질활동의 결과로 만들어졌지만, 달의 산은 오래전 소행성의 충돌로 인해 생겨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렇다면, 달에서 가장 높은 산은 무엇일까? 달 최고봉은 '비의 바다'와 함께 형성된 '몬스 호이겐스(Mons Huygens)'다. 이 산의 봉우리들에 따로 이름이 붙여져 있지는 않지만, 최고봉을 포함한 산이름이 몬스 호이겐스다. 최고 높이는 5500m이고 길이는 41.97km에 달한다. 소행성 충돌 때문에 달 표면이 5500m 융기했다고 보면, 당시 충돌이 얼마나 강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달에는 몬스 호이겐스보다 더 높은 지점도 있다. 산 형태가 아니라 점진적으로 높아져 1만785m의 높이에 이르는 지역이 형성되어 있다. 일종의 고원인 셈인데, 그 이름은 정상답게 '셀레네 서밋(Selenean Summit)'이다. 정상의 대략적 좌표는 5.4125°N 158.6335°W.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 에베레스트의 해발 8838m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