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롱마치 3B 로켓이 29일 시창에서 톈원 2호 우주선을 싣고 궤도로 발사됐다. / CASC 중국이 '톈원(天問) 2호' 우주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하며 야심찬 태양계 탐사 임무를 시작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현지시간 29일 보도했다. 중국 국가항천국(CASC)은 우주선 발사 한 시간여 만에 톈원 2호의 성공적인 발사를 발표했다. 톈원 2호는 29일 새벽 1시 31분 시창(西昌) 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長征) 3B' 로켓에 실려 우주로 치솟았다. 우주선은 발사 18분 만에 목표 궤도에 진입하고 태양 전지판을 전개했다. 이번 임무는 소행성 샘플 채취와 혜성 탐사를 목표로 한다. 톈원 2호의 첫 목표는 근지구 소행성 '469219 카무오알레바(Kamo'oalewa)'로, 지름 40~100m의 빠르게 회전하는 준위성이다. 과학자들은 해당 소행성이 달의 파편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내년 7월 샘플 채취 후 2027년 후반 지구로 귀환할 계획이다. 소행성 샘플 회수에 성공하면 중국은 일본, 미국의 뒤를 잇게 된다. 카무오알레바 샘플은 태양계 형성과 달의 진화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 소행성이 달의 조각이라면 지구-달 시스템의 초기 충돌
파커 태양 탐사선에서 바라본 금성의 모습. / NASA, APL, NRL 금성 궤도를 따라 도는 소행성 집단이 지구에 새로운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른바 ‘금성 동반 궤도 소행성(Venus co-orbital asteroids)’은 금성과 비슷한 경로로 태양을 공전하면서, 일부는 지구와도 가까워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최근의 한 연구가 주장했다. 이 소행성들은 지상 망원경으로는 관측이 매우 어렵다. 태양의 눈부심에 가려지는 탓인데, 지금까지 대부분의 '근지구 소행성(NEA)'은 관측됐지만, 금성 궤도 내 소행성들은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고 과학매체 기즈모도가 현지시간 27일 보도했다. 실제로 지금까지 확인된 금성 동반 궤도 소행성은 20여 개에 불과하다. 브라질 상파울루대학교 연구원 발레리오 카루바 연구팀은 금성 주위에 있는 소행성들이 ‘잠재적 위험 소행성(PHA)’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PHA는 폭 130m 이상, 지구 궤도 0.05천문단위(약 750만km) 이내로 접근하는 소행성으로, 지구에 충돌하면 도시나 지역 전체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금성 동반 궤도 소행성들은 궤도가 불안정해 150년 정도가 지나면 예
극초음속 로켓 엔진을 장착한 항공기 상상도. / Venus Aerospace 극초음속 엔진 시험의 성공을 알리고 있는 비너스 에어로스페이스의 소셜미디어 X. "오늘, 비너스 에어로스페이스가 역사를 만들었다." 미국의 스타트업 '비너스 에어로스페이스(Venus Aerospace)'가 극초음속(음속의 5배 이상의 속도) 엔진을 시험했으며, 잠재적으로 뉴욕에서 파리까지 단 55분만에 승객을 실어나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8시간 걸리는 대서양 횡단 비행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기술이 항공 분야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비너스 에어로스페이스가 최근 세계 최초로 '회전 폭발 로켓 엔진(RDRE)'의 대기권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소셜미디어 X와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했고, 워싱턴포스트와 럭셔리론치닷컴 등 현지언론들이 26일 보도했다. 이 엔진은 실린더 내부에서 연료와 산화제를 지속적으로 폭발시켜 초음속 충격파를 발생시키고, 이 충격파가 원통형 실린더 안에서 회전하며 엄청난 추진력을 만들어낸다. 기존 로켓 엔진과 달리 움직이는 부품이 거의 없어 효율성이 높고, 발사대 없이 일반 공항 활주로에서도 이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마치 통근
달 앞면 북반구의 앞면에 위치한 임브리움 분지. / NASA, JPL, USGS 현재 자기장이 거의 없는 달에서 강하게 자화(magnetization)된 암석이 발견된 것은 수십 년간 과학자들을 의아하게 만들었다. 달의 자기장은 지구 자기장의 약 1%에 불과하다. 이같은 수수께끼를 풀어줄 실마리를 찾아 주목된다.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MIT) 연구팀에 따르면, 약 40억년 전 거대한 소행성이 달에 충돌하면서 달의 약한 자기장을 일시적으로 강화해 암석에 '자기 각인(magnetic signature)'을 남겼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암석의 자기 각인은 주변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자성을 띠게 되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는 1960~70년대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아폴로 임무 때 가져온 달 암석들을 바탕으로 했다. 거대 소행성과 달의 충돌 때 생성된 초고온 플라스마 구름이 달의 약한 자기장을 순간적으로 크게 증폭시켰다고 스페이스닷컴이 23일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 저널에 실린 연구결과를 인용해 현지시간 24일 보도했다. MIT 연구팀의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소행성 충돌로 생성된 플라스마 구름이 달을 감싸며 충돌 지점의 반대편
금성 남반구에 위치한 대형 케찰페틀 코로나 개념도. / NASA, JPL-Caltech, Peter Rubin 평균 섭씨 460도의 뜨거운 표면 온도, 지구의 90배에 달하는 대기압, 이산화탄소로 가득 차 있는 대기, 황산 구름이 존재해 산성비가 내리는 곳, 금성(Venus). 금성은 척박한 환경이지만 지구인에게는 오랫동안 관심의 대상이었다. '지구의 자매 행성'으로 불리는 금성의 지각 활동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금성은 여전히 지질학적으로 활발하며, 거대한 원형 지형인 '코로나(coronae)'가 그 증거라고 사이테크데일리가 현지시간 20일 보도했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마젤란 우주선(1989~94)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새 연구는 금성 내부의 뜨거운 물질이 표면을 뒤바꾸며 코로나를 형성한다고 밝혔다. 이는 금성이 지구와 다른 방식으로 지각 활동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금성 표면 수십에서 수백km에 걸쳐 있는 코로나는 내부의 뜨거운 맨틀 물질이 상승하며 형성된다. NASA의 마젤란 임무는 이러한 코로나 수백 개를 발견했다. 이는 금성의 독특한 지질 활동을 이해하는 열쇠라고 해석된다. 1990년대 마젤란 우주선은 금성의
완벽한 대칭 때문에 '텔레이오스'로 명명된 구형 천체. / Filipović et al., arXiv 우주는 폭발하는 별, 블랙홀, 떠도는 행성들로 가득한 혼란의 공간이다. 그러나 천문학자들은 최근 은하수에서 놀라운 대칭을 가진 초신성 잔해인 '텔레이오스(Teleios)'를 발견했다. 그리스어로 ‘완벽함’을 뜻하는 이 천체는 우주에서 가장 완벽한 구형 천체 중 하나라고 과학매체 기즈모도가 20일 보도했다. 텔레이오스는 호주 '스퀘어 킬로미터 배열 패스파인더(SKA Pathfinder)' 망원경의 이미지에서 포착됐다. 이번 발견은 호주 천문학회 간행물에 제출됐으며, 아카이브(arXiv)에 사전 공개됐다. 연구팀은 텔레이오스를 별의 폭발적 죽음 후 형성된 팽창하는 잔해 구름, 즉 초신성 잔해로 식별했다. 텔레이오스는 거의 완벽한 구형 대칭을 보이지만, 표면 밝기가 매우 낮아 알려진 초신성 잔해 중 가장 어두운 수준이다. 이처럼 어두운 탓에 텔레이오스는 그 물리적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텔레이오스는 지구로부터 약 7175광년 또는 2만5114광년 밖으로 추정된다. 거리의 불확실성 탓에 천체의 크기와 생성 시기 파악에도 차이가 난다. 가까운 거리인
NASA의 달 정찰 궤도선이 촬영한 달의 앞면(왼쪽)과 뒷면. / NASA, GSFC, Arizona State University 40억년전의 달 내부와 현재의 달 내부 비교모습. 둘 다 달의 앞면쪽이 녹아있고, 온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Nature, 연합뉴스 달의 앞면(the nearside)과 뒷면(the farside)은 외관뿐 아니라 내부구조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미국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라이언 팍 박사팀은 '네이처(Nature)'에 NASA '중력회복 및 내부구조 탐사 임무(GRAIL)'로 얻은 달 중력장 데이터를 분석, 달 앞면과 뒷면 내부 구조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달 내부가 균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같은 비대칭성은 달의 지질학적 진화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고 IFL사이언스 등 과학매체들이 이 연구결과를 보도했다. GRAIL 임무는 2011년 쌍둥이 탐사선 엡(Ebb)과 플로우(Flow)를 이용해 달의 중력장을 정밀하게 측정했다. 두 탐사선은 달을 공전하며 서로 간 거리를 무선 신호로 실시간 측정해, 달 표면과 내부에 존재하는 질량 분포의 미세한 차이까지 파악했다. 이를 통해 13km 해상도의
NASA 아스페라 위성을 궤도에 올리게 될 로켓랩의 일렉트론 로켓. / Rocket Lab 로켓랩이 미국 항공우주국 NASA로부터 아스페라(Aspera) 소형위성 발사 계약을 수주했다고 스페이스닷컴 등 외신이 최근 보도했다. 이번 계약은 NASA의 '벤처급 전용 및 라이드쉐어 획득(VADR)'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최대 3억달러(약 4188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아스페라는 은하 형성과 진화를 연구하는 천체물리학 임무로, 내년 1분기 업체의 뉴질랜드 발사 1단지 에서 일렉트론(Electron) 로켓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다. 애리조나 대학교와 NASA가 공동 개발 중인 아스페라는 약 60kg의 소형 큐브샛이다. 해당 위성은 자외선 망원경을 탑재해 은하 사이의 뜨거운 가스, 즉 은하간 매질(intergalactic medium)을 관측하게 된다. 특히 은하로 유출입되는 가스의 흐름을 연구해 은하 형성 과정과 별 형성의 연관성을 밝히는 게 주요 목표다. 은하간 매질의 자외선 관측을 통해 우주의 진화와 구조를 더 깊이 이해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로켓랩의 창립자이자 CEO인 피터 벡은 “NASA의 가장 혁신적인 소형 위성 발사 파트너로, 아스페라와 같은 과학 임
현지시간 5월 14일 남호주 쿠니바에 안착한 바르다의 세번째 재진입 캡슐. / Varda Space, Rocket Lab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우주 스타트업 '바르다 스페이스(Varda Space, 이하 바르다)'가 궤도 임무를 마치고 세번째 재진입 캡슐 미션에 성공했다. 바르다의 W-3 캡슐은 3월 14일(이하 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 팰컨 9(트랜스포터-13) 로켓을 통해 발사된 후, 약 61일 간의 궤도 임무를 마치고 5월 14일 오전 11시 37분(남호주 기준) 남호주 쿠니바 테스트 레인지에 착륙했다. 이번 임무는 미 공군과 '혁신적 과학 솔루션즈 인코퍼레이티드(ISSI)'가 공동 개발한 첨단 관성측정장치(IMU)를 탑재해, 극초음속 재진입 환경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했다. IMU는 GPS 신호가 미약하거나 없는 환경에서도 항공기와 우주선, 미사일의 내비게이션을 지원하는 핵심 장치로, 이번 실험을 통해 극한 조건에서의 성능을 검증한 셈이다. 재진입 속도는 마하 25 이상이었다. 바르다의 W 시리즈 캡슐은 로켓랩의 파이오니어 위성버스를 통해 궤도 내 통신, 전력, 추진을 관리하며, 임무 종료 시 위성버스에서 분리
붐 슈퍼소닉과 함께 초음속여객기 '오버추어'를 개발 중인 노스롭그루먼이 극초음속 무기의 암호를 해독한 것으로 알려졌다. / Northrop Gruman 현대 전쟁에서 주목받는 신무기 중 대표적인 것이 극초음속 무기(hypersonic weapon). 마하 5(음속의 5배) 이상의 속도로 날아가는 극초음속 무기는 기존 방공 시스템으로는 막기 어렵다. 그러나 미국은 러시아, 중국, 심지어 이란과 북한보다 해당 기술에서 뒤처져 있다. 미국이 극초음속 무기 분야를 따라잡기 위해 노력 중인 가운데, 방산기업 노스롭그루먼(Northrop Grumman)이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했다고 내셔널인터레스트 등 국방 과학매체들이 현지시간 13일 보도했다. 노스롭그루먼이 극초음속 무기의 암호를 해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극초음속 무기의 가장 큰 문제는 '블랙 배리어(black barrier)' 현상으로 마하 5 이상으로 비행할 때, 무기 주변에 플라스마 거품을 형성해 약 10분 동안 지상과 통신이 끊긴다. 때문에 무기는 목표물을 향해 날아가는 마지막 단계에서 제어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플라스마 거품은 무기의 레이더 신호를 숨겨 방공 시스템이 무기의 추적·격추를 더 어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