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가디안이 새롭게 개발된 우주복을 소개한 기사를 X에 공개했다. / the Guardian via X 소변을 식수로 만드는 첨단 우주복의 시제품이 나왔다. 영화 <듄>에서 신체 수분을 재활용해 식수로 만드는 '스틸수트(stillsuits)'를 모델로 해 개발한 것이다. 문화적 상상력이 현실로 하나씩 실현되고 있다. 영국 가디안은 "미국 코넬대 웨일 의학대학원 연구팀이 영화 '듄'에 나오는 신체 수분을 재활용하는 '스틸수트'를 모델로 만든 우주복을 개발했고, 이 우주복은 소변을 모아 정화한 뒤 우주인이 다시 마실 수 있는 물을 제공하도록 설계됐다"고 현지시간 11일 보도했다. 새 우주복에 관한 논문은 과학 저널 '프론티어스 인 스페이스 테크놀로지(Frontiers in Space Technology)'에 실렸다. 이 우주복을 사용하면 속옷 안에 마련된 실리콘 수집 컵과 별도의 여과 시스템을 통해 모인 소변을 87%의 효율로 물로 재활용할 수 있다. 500mL의 소변을 채취해 정화하는 시간은 5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연구팀은 새로 개발한 소변 정화 시스템이 38cm×23cm×23cm 크기에 무게 8kg 정도여서 우주복에 부착해 사용할 수 있다고
달궤도를 돌고 있는 다누리를 NASA의 우주선이 포착했다. / NASA 2022년 8월 5일 발사된 달 탐사선 다누리(KPLO)의 임무를 위해 한미 과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특히 내년 말 임무가 끝나는 KLPO의 임무 연장에 대한 중요한 논의가 이뤄질지 관심을 끈다. 우주항공청은 12일 부산 해운대 신라스테이 호텔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최로 '다누리 참여 과학자 연례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다누리 참여과학자 연례회의는 다누리 참여과학자 프로그램 활동 중의 하나로 항우연과 미국 항공우주국 NASA 간 KPLO 임무 이행약정서를 기반으로 구성됐다. 이번 회의에는 우주청과 NASA, 한국과 미국 다누리 운영·탑재체 개발 과학자 70여 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다누리의 임무 연장 가능성과 연장 시 필요한 임무 연장 궤도 설계, 연장 기간 수행할 수 있는 과학 목표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그밖에 다누리 임무 현황, 각 탑재체 주관기관별 수신 자료와 수신자료를 활용한 과학 연구 결과 발표 등도 이어졌다. 류동영 우주항공청 달착륙선프로그램장은 다누리의 우수한 성과와 2032년 발사를 목표로 하는 달착륙 임무와의 연계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누리 임무 결과자료가
2023년 누리호 3차 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돼 위성들을 궤도에 올려놓았다. / 항우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에 탑재될 부탑재위성 6기가 선정됐다. 우주 제약 시험용 큐브위성, 위성 폐기 장치 시험용 큐브위성 등이 누리호에 실려 우주로 발사될 예정이다. 누리호 4차 발사는 내년 하반기에 이뤄질 예정이다. 우주항공청(우주청·KASA)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2025년 하반기 발사 예정인 누리호 4차 발사에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함께 큐브위성 6기(3U 3기·6U 3기)가 부탑재위성으로 실린다"고 11일 밝혔다. 우주청은 지난 5월부터 산업체와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누리호 4차 발사에 탑재될 부탑재위성을 공모한 바 있다. 이번에 선정된 부탑재위성은 △우주 제약 시험용 BEE-1000(스페이스린텍) △공공활용용 다분광 영상촬영 위성 세종4호(한컴인스페이스) △통신용 탑재체 기술 검증을 위한 ETRISat(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폐기장치 시험·우주탐사 부품 검증용 COSMIC(우주로테크) △지구관측영상획득용 JACK3호·4호(코스모웍스) 등 6기다. 6기 외에도 '2022년 큐브위성 경연대회'를 통해 선정된 국내 대학에서 개발 중인
한 화가가 2006년 글렌연구센터 건물 외벽 NASA의 ‘미트볼’ 로고에 색칠을 하고 있다. / NASA 우주산업의 아이콘이 되어 '미트볼'이라는 애칭으로 미국은 물론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는 파란 원반 위의 멋진 로고가 어느덧 65번째 생일을 맞는다. 둥근 파란색 바탕에 흰색과 빨간색 문양. 이 로고가 1959년 첫선을 보인 뒤 미국 항공우주국 NASA를 상징하는 심벌이 되었다. "해피 버스데이!" NASA는 7월 15일 언론과 일반인을 초대해 축하행사를 갖는다. '미트볼' 로고는 클리블랜드에 있는 NASA의 루이스연구센터(현 NASA 글렌)에서 태어났다. 로고를 제작한 수석 디자이너는 이곳 센터에서 예술가이자 기술 일러스트레이터였던 고(故) 제임스 모다렐리다. NASA의 '미트볼' 공식 로고는 파란 둥근 배경에 하얀색 글자로 ‘NASA’가 적혀 있으며, 빨간색의 스월(swoosh) 모양과 별들이 그려져 있다. 이 디자인은 로켓의 궤도와 우주를 상징하며, 로고의 파란 배경은 지구, 별은 우주, 그리고 빨간색 스월은 항공우주 비행을 의미한다. NASA의 '미트볼' 로고는 1975년부터 1992년까지 사용된 '웜(벌레)' 로고로 교체되었다가, 1992년에 다시
아이스아이의 위성군 개념 이미지. / iceye 지구 관측을 위한 SAR(Synthetic Aperture Radar, 합성개구레이더) 위성 운영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인 유럽의 아이스아이(ICEYE)는 우크라이나 국방부와 우크라이나 국가 안보 및 방위를 위한 지구 원격 감지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는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 양해각서는 2022년 이후부터 우크라이나 정부에 대한 아이스아이의 지원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이 각서에는 아이스아이가 우크라이나 영토와 관련된 캡처 이미지를 군사적 공격 상황에서 우크라이나의 안보 및 방위를 보장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적대적 국가나 단체와 공유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보장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한 이 각서에는 우크라이나의 우주 방위 역량을 강화하고, 국방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SAR 전문 지식을 제공하는 아이스아이와 우크라이나 국방부 간의 협력 사항도 포함돼 있다. 이번 양해각서는 원격 감지 기술의 발전과 안보를 위한 데이터 사용 개선, 그리고 우크라이나의 글로벌 우주 경제로의 통합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22년 8월 아이스아이는 세르히 프리툴라(Serhi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팀이 우주에서도 안정적 전력 공급이 가능한 원자력전지를 개발했다. / 원자력연 우주의 극한 환경에서도 끊김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열과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지? 꿈과 같은 원자력전지가 국내에서 자체 제작되어 우주에서의 전력 생산 성능을 입증했다. 지상은 물론, 우주탐사에 큰 도움이 될 성과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자력연)은 "홍진태 동위원소연구부 박사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원자력전지(ETG·Electrically-heated Thermoelectric Generator)를 2022년부터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에 탑재해 지구 저궤도에서 성능을 평가한 결과, 안정적인 전력 생산 능력이 검증됐다"고 9일 밝혔다. 한국은 미국, 러시아에 이어 세계에서 세번째로 원자력전지를 자체 개발한 나라가 됐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2016년부터 수행돼 9년 만에 결실을 맺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원자력전지는 플루토늄 동위원소(Pu-238)를 열원으로 한다. 열을 전기로 변환하는 열전소자, 전지 내부의 열 손실을 막고 열을 전달하는 열제어 구조체로 구성됐다. 열 출력은 10와트(W)급인 소형 원자력전지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우주용 원자
'함께하는 우주연구'. 주제에 걸맞게 전세계 60여개국에서 3000여명의 우주개발 연구자와 우주업계 관계자들이 한국에 몰려온다. 이번 주말이다. 우주과학 분야 세계 최대 학술행사인 ‘제45회 국제우주연구위원회(COSPAR) 학술총회’가 오는 토요일 13일부터 2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다. COSPAR 학술총회는 1958년 영국 런던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대륙별로 순회하며 2년마다 열리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것은 처음이다. 부산시는 8일 '우주과학 올리픽'으로 평가되는 COSPAR 2024 행사의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했다. 행사는 △개회식 △우주기관 연석회의 △초청·대중강연 △전시회 △학술발표 등으로 진행된다. 개회식은 15일 오후 3시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개최된다. 이 자리에는 우주항공청장, COSPAR 위원장, NASA 부청장, 한국천문연구원장 등 전 세계 우주개발 관계자들과 박형준 부산시장 등 행사 관계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초청·대중강연은 14일 오후 3시 30분에 진행된다.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1976년)인 사무엘 팅(Samuel Ting) 교수와 NASA 화성 토양회수 프로그램 책임자인 미낙시 와드화 박사가 대중강연을 하고 한국천
2047년 현대건설 100주년엔 화성에 '정주영 연구기지'가 설립된다? 현대건설은 창립 77주년을 기념해 진행하는 '헤리티지 캠페인' 새로운 영상을 유튜브에 공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영상은 창립 100주년인 2047년 현대건설의 미래 프로젝트를 담았다. 이 프로젝트는 미리 고객들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열어 공모한 미래상을 생성형 인공지능(AI)으로 구현한 것으로 △화성 정주영 연구기지 △주거 복합 우주정거장 △지구-화성 하이퍼루프 △공중 테마파크 △해저 아파트 △스마트 에코시티 △심해 엘리베이터 등 총 10편의 AI 이미지가 등장한다. 현대건설은 "댓글 이벤트를 통해 응모된 1543개 댓글 가운데 창의력이 돋보이는 아이템을 선정했다"고 소개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헤리티지 캠페인을 통해 창업주의 이념을 재조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래까지 이어갈 가치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며 "예상보다 많은 분이 참여해 건설산업이 바꿔갈 미래 풍경과 기대감을 반영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달에 착륙해 있는 아폴로 11호와 닐 암스트롱. 이하의 사진은 상영 현장에서 찍은 다큐 영상이다. / cosmos times "한 인간에게는 작은 한 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 "That's one small step for man, one giant leap for mankind." "우리는 달 착륙에 도전합니다. 쉬워서가 아니라, 어렵기 때문에 도전합니다." “We choose the Moon not because It is easy, but because It is hard” 1960년대 전세계 인류를 가슴 뛰게 만든 두 미국인의 격정적 발언이다. 앞의 것은 아폴로 11호 우주비행사로 인류 최초로 달에 달을 디딘 닐 암스트롱이, 뒤의 말은 냉전시대 미국을 이끌며 세계에 혁신의 바람을 불러온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한 말이다. 케네디 대통령이 달 착륙 도전 연설을 하고 있다. / cosmos times 그리고 그들과 함께 수많은 사람들이 긴 시간과 자금, 엄청난 열정을 투입해 만들어낸 20세기의 신화, 인간 달 착륙 '아폴로 프로젝트'. 그 생생한 순간들을 경험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가 지금 서울에서 상영되고 있다. '라이트룸 서울'이라는
세브란스 아트 스페이스에서 'FLY' 전시를 열고 있는 황중환 교수를 5일 낮, 현장에서 만났다. / cosmos times 달과 우주, 희망을 그리는 화가이며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인 황중환 조선대 교수가 병원의 환자들을 위로하는 따뜻한 그림들을 모아 아담한 전시회를 열었다. 'Fly'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 전시회는 서울 서대문구 신촌의 세브란스병원 본관 3층 로비 전시관인 '세브란스 아트 스페이스'에서 8월 28일까지 열린다. 아트파크가 기획했다. 전시를 알리는 글에서 황중환 교수는 다음과 같이 날아오르는 것에 대한 꿈을 말하고 있다. "어린 시절 꿈을 꿀 때마다 얼마나 높은 하늘을 날았는지도 생각납니다. 아이들이 키가 클 때면 하늘을 나는 꿈을 꾼다는 말도 있었지만, 저는 제가 새가 아니었을까 생각하곤 했습니다. 어린 시절 첫사랑이 내 고백을 받아준 날 집으로 돌아올 때도 분명 내 두 발은 공중을 날고 있었습니다. 오랫동안 원하던 일이 이루어졌을 때, 나를 힘들게 하던 일들이 해결되었을 때, 행복한 마음이 가득할 때도 우리는 하늘을 나는 것 같은 기분을 느끼곤 합니다." 'Fly' 전시 포스터와 전시 작품들. / Art Park 5일 오후 세브란스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