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5일 팰컨9 로켓에 실려 달로 발사될 예정인 '블루 고스트' 달 착륙선과 로켓 분리 후 달까지 가는 비행개념도. / Firefly Aerospace 1월 15일, 2개의 달 착륙선을 실은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 발사될 것으로 보인다.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미국 항공우주국 NASA는 1월 중순에 민간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Blue Ghost)'라는 이름의 민간기업 달 착륙선을 보내는 것을 목표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의 블루 고스트 달 착륙선이 미국 동부표준시 1월 15일 수요일 오전 1시 11분(한국시간 오후 3시 11분)에 플로리다에 있는 NASA 케네디 우주센터의 발사단지 39A에서 이륙하여 달로 발사될 예정이라고 스페이스닷컴이 보도했다. '하늘의 고스트 라이더'로 알려진 이 미션에서는 블루 고스트가 스페이스X의 워크호스 팰컨9 로켓을 일본 기업 아이스페이스의 '레질리언스(Resiliance)' 착륙선과 함께 우주로 날아갈 예정이다. 발사 후 블루 고스트는 지구 궤도를 도는 데 25일을 보낸 후 엔진을 점화해 달로 향하는 통과 궤도에 올려지게 된다. 블루 고스트는 16일간 달 궤도를 돌면서 달 표면에 착륙할
8일 수성을 여섯번째로 근접비행하는 베피콜롬보의 비행궤적 개념 이미지. / ESA 이번에는 수성이다. 우주탐사가 활발하게 진행될 2025년, 그 첫달부터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인류의 세번째 수성 탐사선인 '베피콜롬보(BepiColombo)'가 유럽 기준 8일 마지막 수성 플라이바이(flyby·근접비행)를 수행한다. 이번 비행 후 우주선의 속도를 낮춰 2026년 말경 수성 궤도에 접근할 예정이다 유럽과 일본의 우주국인 ESA, JAXA가 함께 운영하고 있는 베피콜롬보가 1월 8일, 수성 표면에서 295km 상공을 비행할 예정이며, 가장 가까운 접근은 중앙유럽표준시 8일 오전 6시 59분으로 예정되어 있다. 이 기회를 이용해 수성을 촬영하고 환경을 측정하게 된다. 이 여섯번째이자 마지막인 근접비행을 마치면, 우주선의 속도를 줄이고 방향을 바꿔 2026년 말 다시 수성 궤도에 진입하게 된다. 베피콜롬보는 수성 탐사의 8년 여정을 시작한 지 6년이 넘었다. 베피콜롬보의 카메라와 다양한 과학 장비는 작은 암석 행성의 표면과 주변 환경을 조사하게 된다. 베피콜롬보는 수성의 밤 쪽으로도 접근한다. 수성 뒷면으로 돌면서 태양이 비추지 않는 부분을 카메라로 촬영하게 되는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이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24개의 스타링크 인터넷 위성을 싣고 발사되고 있다. / SpaceX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올해 첫번째 인터넷 위성을 발사했다. 미국 동부시간 1월 6일 오후 3시 43분(한국시간 7일 오전 5시 43분) 미국 플로리다의 스페이스 코스트에서 새해 기념 축포를 쏘았다. 2025년에도 우주 탐사와 위성 기술의 발전은 계속된다.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우주선 24기를 실은 팰컨9 로켓은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돼 강력한 발사 불꽃을 분출하면서 푸른 하늘로 날아올랐다. 스페이스X와 스페이스닷컴을 통해 실시간 업로드된 발사동영상에 따르면, 팰컨9의 첫단계 로켓 부스터는 계획대로 이륙 약 8분 후에 지구로 돌아와 대서양에 배치된 스페이스X 드론 착륙선박 '저스트 리드 더 인스트럭션(Just Read the Instructions)'에 착륙했다. 스페이스X의 설명에 따르면, 이번 비행은 이 로켓 부스터의 17번째 발사 및 착륙이었다. 이 중 10번의 비행은 스타링크 미션이었으며, 한번은 NASA를 대신하여 국제우주정거장 ISS로 향하는 크루5 미션으로 우주비행사를 ISS에 보내는 역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홈페이지에는 서비스 신청을 안내하는 코너가 마련돼 있다. / starlink 군집위성망을 통해 촘촘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서비스가 이르면 올봄, 미국 유나이티드 항공에 입성하게 된다. 항공사 중 스타링크 서비스를 채택하는 첫 케이스, 유나이티드 항공의 고객들은 비행 중 무료 초고속 인터넷을 편하게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지시간 5일 CNN, 블룸버그, USA투데이 등 미국 주요언론들에 따르면, 유나이티드 항공은 계획을 앞당겨 스타링크 와이파이를 다음달 시험 가동할 예정이며 연말까지 주요 노선에서 서비스를 제공해 궁극적으로 모든 항공편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 3대 항공사 중 하나인 유나이티드 항공은 보유하고 있는 엥브라에르 E-175 기종을 시작으로 스타링크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끊김이 없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내에서 스트리밍과 쇼핑, 게임을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인터넷은 좌석의 스크린이나 개인 기기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해졌다.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가입이 무료인 유나이티드의 마일리지플러스 회원이
첫번째 키워드 '달' 1. 달 착륙 도전하는 민간기업들 2. 달 유인비행에 도전한다 3. 달 기지, 달 탐사의 꿈 달이다. 달은 우리에게 우주의 대표선수다. 그 달에 사람이 사는 꿈이 이제 이뤄지고 있다. 1960, 70년대에 이뤄진 달 착륙은 짧은 기간 동안 달에 머물며 실험을 하거나 달의 샘플을 채취해 돌아오는 것이 전부였다. 그나마 딱 12명만이 달에 발을 디딜 수 있었다. 그로부터 반세기가 지난 지금, 인간은 다시 달에 가려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번엔 좀 다르다. 물론 처음에는 달에 잠깐 머물게 되겠지만, 지속적으로 달을 찾을 수 있거나, 달에 오랫동안 머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그래서, 루나 게이트웨이라고 불리는 달 궤도 우주정거장을 만들고, 아예 달에 인간이 거주할 수 있는 기지를 만들려 하고 있다. 이 시도는 나중에 화성이라는 완전히 다른 행성에 인간이 이주할 수도 있다는 전제 아래, 그것을 미리해본다는 의미와, 화성을 향한 발사기지를 만든다는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영화 '더문' 속에 등장하는 루나 게이트웨이. NASA의 실제 추진 형태와 거의 같아 화제가 됐다. ▶달 궤도 우주정거장 루나 게이트웨이 달 탐사에 나섰던 우주선에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면 지구는 어떻게 될까? 태양도 달도 사라지면 우리는 어떻게 될까? 태양폭풍이 몰아치면 우리는 어떻게 될까? 초신성이 폭발했다! 지구는 어떻게 될까? 반물질로 된 별이 태양과 충돌한다면, 우리는? 블랙홀이 우리를 집어삼킬까? 외계 생명체와 접촉할 확률은 얼마나 될까?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는 정말 충돌할까? 우주도 언젠가 사라지는 때가 올까? 인류 최대의 위협, 지구온난화는 해결할 수 있을까? 우주에는 지구에 사는 우리를 멸망시킬 방법이 수없이 많다. 위에 나열된 것들은 그중 일부분일 뿐이다. 하여튼, 이들 대부분의 재난은 일어날 가능성이 아주 낮거나 일어날 확률이 거의 없다. 가능성이 있다 해도 수천만년, 혹은 수억년 뒤의 일이다. 이같은 수많은 지구 멸망의 요소들 중 13가지를 골라 흥미진진하게 풀어낸 책이 새해초 출간됐다. 이탈리아 천체물리학자이면서 판타지 소설가인 리치아 트로이시가 쓴 <불안한 사람들을 위한 천체물리학>이다. 이탈리아어 전문번역가인 김현주의 옮김에 한국천문연구원 문홍규 박사와 그의 동료들이 분야별 감수를 맡았다. 2025년 1월, 플루토 발행. 출판사의 서평을 통해 책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타십의 7차 시험비행을 알리고 있는 스페이스X의 홈페이지. "새 우주선, 새해, 새로운 한계도전이 온다. 흥분할 준비를 해라."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새해초 스타십 우주선의 7차 시험비행이 임박했음을 알리며, 소셜 미디어 X에 남긴 말이다. 새로운 우주선으로 1월 11일 전후에 진행할 '스타십 7차 시험비행'의 새로운 미션에 대해 스페이스X는 홈페이지에 상세하게 설명했다. 우주선 몸체가 업그레이드됐고, 처음으로 인공위성을 배치하는 실험을 하게 된다는 것이 주요 내용. 스페이스X에 따르면, 다가오는 시험비행에는 상당히 업그레이드된 차세대 우주선이 사용되고, 재사용 활용도와 효용성을 높이는 실험들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스타십의 상단부 우주선에는 업그레이드된 블록이 처음으로 사용되는데, 전방 플랩은 크기가 축소되고 열 차단막에서 멀어지도록 조정해 대기권 재진입 때 열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했다. 추진체의 부피는 25% 늘리면서 랩터 엔진을 위한 새로운 연료공급 라인 시스템을 적용하기도 했다. 열 차단막에는 최신 타일을 사용하고 타일의 누락이나 손상이 발생할 때를 대비해 백업 레이어도 갖추게 했다. 항공 전자장치의 업그레이드와 재설계된 내비게이션을
NASA의 태양 탐사선 '파커'가 태양에 근접비행하고 있는 상상 이미지. / NASA, JHAPL 새해 첫날 태양의 인사가 지상으로 전해졌다.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선물로 태양에 최근접한 NASA의 태양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Parker Solar Probe)'가 성공적으로 태양 코로나를 통과해 살아 날아가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온 것이다. 1월 1일 미국 메릴랜드에 있는 존스홉킨스 대학교 응용물리학연구소의 미션운영팀은 파커 탐사선이 역사적인 태양과의 만남 이후 "건강하고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최초의 원격측정 신호(또는 하우스키핑 데이터)를 받기 시작했다고 NASA가 현지시간 2일 자료 업데이트를 통해 밝혔다. 파커 태양 탐사선 임무를 감독하는 운영팀 대변인 마이클 버클리는 "우주선 시스템과 장비 운영은 모두 잘 되어가고 있다. 정말 놀라운 우주선이다!"라고 전해왔다고 스페이스닷컴이 보도했다. 운영팀에 따르면 최신 원격측정 전송은 파커 솔라 프로브가 비행 컴퓨터에 프로그래밍된 명령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며 과학기기가 비행 중에 작동했음을 확인시켜준다. 즉, 우주선이 태양 표면에서 380만 마일(약 610만km) 이내로 급강하하면서 태양
첫번째 키워드 '달' 1. 달 착륙 도전하는 민간기업들 2. 달 유인비행에 도전한다 3. 달 기지, 달 탐사의 꿈 달이다. 달은 우리에게 우주의 대표선수다. 이제 인간은 반세기만에 다시 달에 가려고 한다. 이 도전은 196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말한 것처럼, 어렵기 때문에 한다. 50년의 시간이 지났다고 쉬워진 것이 아니다. 케네디의 선언에는 이런 대목도 들어있다. 우리의 우주인을 달에까지 보냈다가 무사히 집으로 데려올 것이다. 그렇다, 유인 비행에는 안전이라는 또다른 대목이 들어간다. 안전이라는 단어는 도전과 짝을 이루는 말이다. 힘들기 때문이라는 표현은 그냥 물리적으로, 과학적으로 힘들 뿐만 아니라, 결과와 목표지점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목숨을 걸어야 한다는 힘듦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전이고,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할 수 있는 안전장치들을 마련해야 한다. 50년이 지났지만, 그 조건은 변하지 않았다. 유인 우주비행은 다른 차원으로 어려움을 포함하고 있는 도전이다. 빌 넬슨 NASA 국장이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연기를 발표하고 있다. / NASA ▶연기된 아르테미스, 비록 유인비행은 미뤄졌지만... 미국의 NASA가 주도하고 있는 심우주탐사
2024년 텍사스 스타베이스에서 발사되고 있는 스타십 6차 시험비행. / spaceX 지상최대의 로켓인 스페이스X의 스타십이 2025년을 자신의 해로 만들 것으로 보인다. 높이 400피트(약 122m)의 스타십은 지금까지 제작된 로켓 중 가장 크고 강력한 시스템으로, 완전하고 빠르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스페이스X는 이러한 강인함과 효율성의 결합이 인류가 화성 정착을 포함한 다양한 우주 비행 업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핵심 돌파구라고 믿고 있다. 일론 머스크의 화성 이주라는 원대한 꿈을 반영한 메가로켓이 바로 스타십이다. 스타십은 2025년에 큰 도약을 할 것으로 스페이스X와 스페이스닷컴 등 언론들이 보고있기 때문에 향후 12개월, 2025년 한해에 걸쳐 이러한 비전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라는 보도들이 나오고 있다. 스타십은 현재까지 6번 발사됐다. 2023년에 2번, 2024년에 4번 발사됐다. 이 로켓은 모두 텍사스 남부에 있는 스페이스X의 스타베이스 발사대에서 시험비행 발사를 했고, 할 때마다 조금씩 업그레이드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가장 최근의 3차례의 시험발사에서 슈퍼 헤비 부스터와 165피트(50m) 높이의 상부 단계 우주선인 스타십은 지구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