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모디 총리의 격려를 받는 우주비행사들. 액시엄 스페이스 AX-4 임무에 선발된 슈반슈 슈클라(오른쪽)와 백업 프라산트 발라크리슈난 나이르(왼쪽). / Office of Indian PM Modi 인도 우주비행사 2명이 1년여를 기다린 끝에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존슨우주센터에서 곧 훈련을 받게 됐다. 이들 중 한 명은 민간우주비행사 임무로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활동할 예정이다. 가가냐트리로 불리는 두 우주비행사는 러시아에서 우주 비행을 위한 자체 훈련 프로그램까지 소화했다. 더타임즈오브인디아와 스페이스뉴스닷컴 등에 따르면,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현지시간 8월 2일 우주비행사 4명 중 슈반슈 슈클라와 프라산트 발라크리슈난 나이르가 ISS 임무를 위한 훈련을 받기 위해 8월 첫 주에 미국으로 간다고 발표했다. ISRO는 슈클라가 ISS로 향하는 액시엄스페이스 'AX-4' 임무에 배정됐고 나이르는 그와 함께 백업으로 훈련을 받는다고 덧붙였다. ISRO는 이번 발표를 통해 인도 우주비행사가 AX-4에 탑승해 ISS에 갈 것임을 처음 확인해 줬다. 인도의 하원인 록사바의 질문에 대한 7월 24일 서면 답변에서, 지텐드라 싱 과학기술부 장관은 "인도
NASA의 스페이스X '크루-10' 우주비행사들. 왼쪽부터 니콜 에이어스, 키릴 페스코프, 앤 맥클레인(사령관), 타쿠야 오니시. / NASA 스페이스X의 ‘크루-10(Crew-10) 미션’에 참여할 우주비행사들의 면면이 드러났다. 2명은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소속, 다른 2명은 일본과 러시아인이다. 이들은 국제우주정거장 ISS에서 장기 체류를 하며 다양한 과학 실험, 미생물 샘플 수집, 기술 시연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번 임무로 ISS에서 10번째 승무원 교대가 이뤄지게 됐다. NASA와 스페이스X,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NASA는 현지시간 8월 1일 내년 2월 ISS에서 활동하게 될 우주비행사 4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이들 중 NASA 소속 앤 맥클레인이 사령관, 니콜 에이어스는 조종사다. 나머지 일본 항공우주연구개발기구(JAXA)의 다쿠야 오니시,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의 키릴 페스코프는 임무 전문가로 참여한다. 우주 임무로는 맥클레인과 오니시는 두번째, 에이어스와 페스코프는 처음이다. 이번 임무의 사령관인 맥클레인은 미국 육군에서 대령으로 복무한 뒤 2013년 NASA의 우주비행사로 선발됐다. 첫번째 우주 비행 때 ISS에서 204일
스페이스X의 드래곤 캡슐이 지구 귀환을 위해 바다에 착수하고 있다. / spaceX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드래곤(Dragon) 우주선 캡슐의 지구귀환 착수(着水·splashdown)를 기존 플로리다에서 캘리포니아 해안으로 바꾸기로 했다. 내년부터 화물과 승무원 버전 모두에 적용된다. 우주선이 지구로 돌아올 때 생기는 우주 쓰레기가 사람 주거지로 떨어지는 것을 막고 넓은 태평양에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스페이스X와 과학기술 매체 피스오알지(phys.org)에 따르면, 이 같은 조치는 현지시간 7월 26일 국제우주정거장 ISS로 향하는 '크루-9' 임무를 앞두고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기자회견에서 발표됐다. 드래곤 임무 관리자인 사라 워커는 "플로리다 해안에서 5년간 착수한 끝에 드래곤 귀환 작업을 다시 서해안으로 보내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NASA의 상용승무원프로그램(CCP)의 일환인 크루-9은 8월 18일 발사 예정이다. 4명의 우주비행사를 ISS로 데려가는 임무로 3명은 NASA, 나머지 한 명은 러시아 연방우주국 로스코스모스(Roscosmos) 소속이다. 인간에게 직접 위협이 되는 우주 쓰레기는 재진입과 착수 전에 버려지는
두 달 가까이 국제우주정거장에 발이 묶여 있는 보잉의 스타라이너 우주선. / NASA 미국의 거대 우주항공기업 보잉이 잇단 악재 속에 휘청거리고 있다. 737 맥스 여객기 사고뿐만 아니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두 달 가까이 발이 묶인 스타라이너(CST-100 Starliner) 때문에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보잉은 경영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최근 최고경영자(CEO)를 데이브 칼훈에서 켈리 오트버그로 교체했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와의 상용승무원프로그램(CCP)의 경쟁자인 스페이스X를 따라잡기 위한 애쓰고 있는 보잉의 몸부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스페이스닷컴, 스페이스뉴스닷컴 등에 따르면, 보잉은 현지시간 7월 31일 자사의 골칫거리인 스타라이너 CCP의 2분기 추가 손실 1억2500만달러(약 1718억원)을 발표했다. 이는 같은 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도 밝혀졌다. 이로써 스타라이너에 대한 총 손실은 2016년부터 지금까지 16억 달러(약 2조1996억원)로 급증했다. 이는 대부분 스타라이너의 일정 지연과 문제 해결을 위한 추가 작업 탓에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NASA와 보잉은 2010년부터 스타라이너 프로그램에만 최소
룩셈부르크의 ‘아이스페이스 유럽’ 본부에 진열돼 있는 '터네이셔스' 초소형 달 탐사선. / ispace '터네이셔스'. 영어로 'Tenacious'라고 쓰는 이 단어의 뜻은 '끈기있다'. 일본의 한 기업이 만든 달 탐사 로버의 이름이다. 미국의 화성 탐사로버 이름은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는 '인내, 끈기'라는 뜻이다. 그만큼 다른 천체를 탐사하는 일은 오랜 시간의 노력과 끈기가 필요하다는 뜻일 것이다. 일본의 우주탐사 기업 아이스페이스(ispace)가 연내 달에 착륙선과 탐사선을 보낸다. 아이스페이스의 룩셈부르크 자회사인 ‘아이스페이스 유럽’이 개발한 초소형 달 탐사 로버 '터네이셔스(Tenacious)'가 올해 말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라는 것이다. 이 임무는 달 표면에 연착륙을 시도하는 아이스페이스의 두번째 시도다. 2023년 하쿠토R 착륙선이 최초의 민간 달 착륙 성공 직전에 실패한 적이 있다. 스페이스닷컴 등 우주매체에 따르면, 아이스페이스 유럽이 유럽 우주국(ESA)과 계약을 통해 룩셈부르크 우주국(LSA)의 자금 지원을 받아 일부 개발한 터네이셔스가 최근 완성됐다. 이 탐사선은 일본으로 운송돼 아이스페이스의
올 6월 파열시험에서 부풀기 시작하는 시에라 스페이스의 팽창식 모듈. / Sierra Space 2030년에 퇴역하는 국제우주정거장 ISS 이후를 대비한 우주정거장의 하나로 개발되고 있는 '오비털 리프(Orbital Reef·궤도 산호초)'가 순항 중이다. 상업적인 우주활동과 우주관광을 위해 설계된 오비털 리프가 2023년 12월에 이어 지난 6월에도 '최종파열 시험'에 성공했다. 스페이스닷컴과 피스오알지 등 우주매체의 28일 보도에 따르면, 블루 오리진과 시에라 스페이스가 개발 중인 상업우주정거장 오비털 리프의 구성 요소가 '실물크기 최종파열압력 시험(full-scale ultimate burst pressure test)'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최근 시험 결과는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최소 요건보다 4배에 달하는 안전 수준을 나타냈다. 이로써 시에라 스페이스는 비행인증 획득에 한 발 더 다가섰다. 이번 파열압력 시험에는 높이가 6m 이상인 실물 크기의 팽창식 모듈이 사용됐다. 시험 모형은 ISS 부피의 약 3분의 1 정도인 300m³로 4명의 우주비행사가 생활할 수 있고 과학 장비 등이 들어간다. 내년에는 500m³ 규모의 대형 버전의 첫 시험도 기다
블루 오리진의 26번째 뉴 셰퍼드 준궤도 비행에 탑승할 승무원들. / Blue Origin 블루오리진의 홈페이지에서 뉴셰퍼드의 새 승무원을 모집하는 모습. 미국의 억만장자 제프 베조스의 우주기업 블루 오리진이 '뉴 셰퍼드(New Shepard)' 26번째 우주관광 비행을 앞두고 승무원을 발표했다. 뉴 셰퍼드의 유인비행으로는 7번째, 올해 2번째가 될 이번 임무에 대학생이 뽑혀 최연소 여성 우주비행사가 탄생하게 됐다. 아직 비행 일정이 확정되지는 않았다. 스페이스닷컴 등에 따르면, 블루 오리진은 최근 뉴 셰퍼드의 차기 비행에 탑승할 승무원 6명을 발표했다. 승무원들은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지원을 받는 연구자, 교수, 대학생, 심장병 전문의, 기업가 등 다양하다. 이들 중 한 명인 카르센 키친은 카르만 라인(Kármán line) 100km에 도달하는 최연소 여성으로 기록될 게 분명하다. 화제의 주인공 키친은 채플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4학년으로, 우주산업에서 여성들이 경력을 쌓도록 장려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커뮤니케이션과 천문학을 전공하는 키친은 앞서 NS에 탑승했던 짐 키친의 딸이다. 뉴 셰퍼드 프로그램으로 카르만 라인 위로 비행한 사람은 지금까지 3
뉴 프런티어 에어로스페이스는 지점 간 초고속 여행 비행체에 사용할 새 엔진 시험을 시작했다. / New Frontier Aerospace 지구에서나 우주에서 지점 간 초고속 여행을 꿈꾸는 미국의 우주운송 스타트업이 비행체에 동력을 공급할 엔진 시험을 시작했다. 이 스타트업은 놀랍게도 지점 간 운송 분야에선 스페이스X보다 더 경쟁력이 있다고 자신한다. 다만 엔진 개발을 위한 자금조달을 해야하는 장벽이 남아있다. 해외 우주미디어들에 따르면, '뉴 프런티어 에어로스페이스(New Frontier Aerospace)' 알렉스 타이 회장은 영국 현지시간 7월 23일 판보로 국제에어쇼 패널 토론에서 "7월 18일 첨단 로켓용 묠니르 엔진(Mjölnir engine)을 첫 시험 발사했다"고 발표했다. 다른 설계보다 더 높은 효율성을 자랑하는 묠니르는 ‘전 유량 다단 연소 사이클(FFSC)’이다. 이 엔진은 스페이스X의 랩터 엔진과 스타트업 스토크 스페이스가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설계 방식으로 액체 산소와 메탄 추진제를 사용한다. 스토크 스페이스도 재사용 가능한 발사체를 개발 중이다. 타이 회장은 패널 토론 후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로켓 모터를 발사했다고 믿는다"고 강조했
미국의 스타트업 스타 캐처의 우주 기반 에너지 전력망 개념도. / Star Catcher Industries 우주비행이나 끝없이 궤도를 도는 위성은 긴 시간에 걸친 에너지 공급이 필요한 작업. 날아가는 동안 연료가 떨어지거나 우주작업을 진행할 에너지가 바닥나면 어떤 일이 생길까 염려스럽다. 그래서 '우주 충전소'가 필요하다는 개념이 싹텄고, 실제로 그 사업을 통해 제2의 스페이스X 같은 우주대기업이 되겠다는 기업이 있다. 미국의 스타트업 '스타 캐처(Star Catcher Industries)'가 지구 저궤도에서 위성에 태양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초기투자를 확보했다. 발사 시장의 스페이스X 성공사례처럼 스타 캐처도 '우주 충전소'를 연상시키는 아이디어로 도약을 꿈꾸고 있다. 스타 캐처를 시발점으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이 우주탐사의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스페이스뉴스닷컴 등 우주매체에 따르면, 스타 캐처는 현지시간 7월 24일 시드 라운드에서 1225만 달러(약 170억원)를 모집했다. 투자액이 크지는 않지만 ‘이니셜라이즈드 캐피털(Initialized Capital)’과 ‘B 캐피털(B Capital)’이 초기투자를 주도했고 로그 VC도 참여
지구에서 12광년 떨어진 ‘슈퍼목성’ 엡실론 인디Ab 개념도. /NASA 제임스웹의 MIRI, 중적외선카메라가 포착한 '슈퍼목성'의 실제 이미지. / STScI 우리 태양계 밖 이웃 별 주변에서 슈퍼 궤도를 가진 '슈퍼목성(super Jupiter)'이 발견됐다. 슈퍼목성의 이미지를 처음으로 직접 포착한 주역은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 지름이 목성과 거의 같지만 질량은 6배 더 큰 이 천체는 지금까지 관측된 가장 차가운 외계행성 중 하나다. 중심별과 가까워 매우 뜨거운 대부분의 거대 가스행성과 달리 온도가 2℃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됐다. NASA와 제임스웹을 운영하는 STScI 등에 따르면, 독일 막스플랑크 천문학연구소의 엘리자베스 매튜스가 이끄는 연구팀이 지난해 웹망원경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7월 24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 슈퍼목성과 중심별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팀은 웹망원경의 MIRI(중적외선 기기) 코로나그래프를 사용하여 지구에서 약 12광년 떨어진 '엡실론 인디 Ab(Epsilon Indi Ab)'를 직접 관측했다. 엡실론 인디 Ab가 중심별(엡실론 인디 A)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10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