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찬드라얀 2호는 달 궤도 CH2O를 비행하다 한국의 다누리와 충돌하지 않기 위한 기동을 했다. / ISRO 한국의 달 탐사선 다누리와 인도의 찬드라얀 2호가 충돌할 위험이 있어, 찬드라얀 2호가 궤도에서 변화를 주는 기동비행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우주연구기구(ISRO)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의 찬드라얀 2호 달 궤도선은 지난 9월 한국의 다누리 탐사선과의 근접 접근을 피하기 위한 기동을 했다고 스페이스닷컴과 스페이스뉴스 등이 보도했다. 보고서는 찬드라얀-2 궤도선이 9월 19일 다누리(KPLO)에 근접하는 것을 막기 위해 궤도를 올렸다고 밝혔는데, 찬드라얀-2의 궤도가 변경되지 않을 경우 2주 후에 충돌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는 것. 보고서는 10월 1일에 이뤄진 후속 기동도 찬드라얀-2가 NASA의 달 정찰 궤도선(LRO)을 포함한 달 주변의 다른 궤도선과의 잠재적 충돌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충돌 회피 기동은 달 주변에서 드문 일이 아니다. 찬드라얀 2호, 다누리, LRO는 모두 거의 극에 가까운 궤도를 공유하기 때문에 충돌 위험이 매우 높은 달 극지방 상공에서 우주선끼리 근접비행을 종종 하게된다고 알려졌다
달의 뒷면은 앞면보다 더 두꺼운 지각을 가지고 있다. / NASA, GSFC, Arizona State University 달 뒷면 샘플을 연구한 결과, 오래전 화산활동이 있었음을 알게됐다는 연구가 소개된 Nature. 지구에서 바라볼 수 있는 달의 앞면 쪽에서는 화산 활동이 있었다. 과학자들에겐 이미 알려진 사실. 그러나 최근에야 샘플이 채취된 달의 뒷면 쪽에서도 수십억 년 전에 화산이 분출했다는 게 드러났다. 중국 달 탐사선 '창어(嫦娥) 6호'가 수집한 샘플을 분석한 결과, 42억 년 전 현무암(분출 후 형성된 화산암) 조각이 발견됐다. 달의 뒷면 지역이 앞면과는 다른 지질과 암석 조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또한 칼륨, 희토류 원소, 인(KREEP로 통칭)의 풍부함도 달랐다. 중국과 미국 과학자들이 협업한 연구 결과는 이달 15일 네이처(Nature)와 사이언스(Science) 에 게재됐고 이를 CBS, AP, BBC를 비롯한 해외언론들이 보도했다. 중국 과학원 지질 및 지구물리학 연구소의 리 추이루이 교수팀은 현무암 샘플을 통해 달의 뒷면에서 28억 년 전과 42억 년 전의 화산 사건을 상세히 밝혀냈다. 오래된 현무암(약 42억 년)은 칼륨(K), 희
USC 대학생들이 제작한 로켓이 최고 고도를 향해 치솟고 있다. / abc7.com 동영상 캡처 지난 10월 20일 미국 네바다주 블랙록 사막의 로켓 발사 지역. 여러 명의 학생들이 분주하게 발사대를 조립하고 로켓을 장착한 뒤 카운트다운에 돌입했다. 다소 어설픈 장면이었지만, 로켓은 힘차게 상공으로 치솟으며 학생들의 우주비행의 꿈은 보기 좋게 성공했다. 남가주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C) 학생팀이 아마추어로서 지구 표면 위로 가장 멀리 로켓을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고 abc7닷컴이 현지시간 18일 보도했다. 이들이 쏘아 올린 로켓 '애프터쇼크 2호(Aftershock II)' 의 고도는 무려 47만400피트(143.3km)에 달했다. 이로써 기존 기록인 2004년 비영리 단체 CSXT(Civilian Space eXploration Team)의 고패스트(GoFast) 로켓의 38만5800피트(117.6km)를 크게 넘어섰다. 로켓 발사 프로젝트는 USC 로켓추진연구소에서 주도했다. 애프터쇼크 2호 로켓에 탑재된 항공전자장비 유닛의 데이터 분석 결과, 최대 속도는 시속 3602마일(약 5796km)이었다. 게다가
거대로켓 스타십을 타고 지구상의 도시들을 여행할 수 있다는 'Starship Earth to Earth'를 알리고 있는 spaceX 홈페이지. 달과 화성으로 인간을 실어 나를 스페이스X의 초대형 로켓 '스타십(Starship)'이 '지상에서 지상으로(Earth to Earth)' 여행에도 사용되는 계획이 현실화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새로운 '정부효율부(DOGE)'의 공동 수장으로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CEO를 임명하면서 이 같은 전망에 힘이 실리게 됐다. 머스크는 "수년 내 스타십을 타고 뉴욕에서 런던까지 30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는데, 스타십을 이용해 세계 어디든 1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다는 스페이스X의 '꿈의 계획'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의 연방항공청(FAA)이 스페이스X의 프로젝트를 빠르게 승인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미국의 언론들이 보도하고 있다. 스타십은 높이 121m, 무게 500만kg의 스테인리스 스틸 재사용 로켓으로, 100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다. 스타십은 주요 도시 간의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게 분명하다. 스타십이 최대 시속 2만7000km로 지구 궤도를 따라 비행할
로켓랩의 차세대 중형급 로켓 ‘뉴트론’ 이미지. / Rocket Lab 미국의 우주 발사체 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중형급 로켓 '뉴트론(Neutron)'의 첫 유료 고객을 확보했다. 이로써 올 한해 기록적인 성장 가도를 달려온 로켓랩은 스페이스X의 경쟁자로서 또 다른 강력한 날개를 달게 됐다. 로켓랩이 미공개 상업 위성군 운영자와 뉴트론 다중 발사 계약을 맺었다고 스페이스뉴스닷컴 등이 보도했다. 발사 일정은 2026년 중반과 2027년 두 차례다. 이번 계약은 동일 고객을 위한 추가 발사로 이어질 수도 있다. 피터 벡 로켓랩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계약이 특정 고객의 전체 위성군을 배치하는 데 뉴트론이 사용될 수 있는 생산적인 협업의 시작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발사체가 입증되고 비행하기 전에는 어떤 발사 계약도 기본적으로 가치가 없다"고 덧붙였다. 아직 발사된 적이 없는 뉴트론 로켓은 지름 약 7m, 높이 42.8m, 페어링 길이 5m다. 1단에는 아르키메데스 엔진 9개, 2단에는 1개를 장착했다. 아르키메데스 엔진은 로켓랩에서 개발 중인 가스발생기 사이클 엔진이며 3D 프린터를 이용해 제작될 예정이다. 벡 CEO는 최근 어닝
한국천문연구원 이론천문센터 티엠 황(Thiem Hoang·사진) 책임연구원이 대만 국립중앙대학교와 델타 전자문화교육재단이 공동 주관하는 '젊은 천문학자 강연상(NCU-DELTA Young Astronomer Lectureship Award)'을 수상했다. 티엠 황 교수는 해당 상을 수상한 네 번째 아시아인 과학자다. 티엠 황 박사는 우주 내 성간 물질 및 행성계의 진화 과정과 우주 배경 복사 연구에 공헌한 점을 인정받았다. 시상식은 올해 12월 대만 국립중앙대학교에서 진행되며, 티엠 황 박사는 우주 먼지가 생명의 기원에 미친 영향과 우주 성간 물질을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의 알파 로켓. / Firefly Aerospace 상업적 발사를 위한 소형·중형 로켓을 제작하는 미국의 우주기업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Firefly Aerospace, 이하 파이어플라이)가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파이어플라이는 이를 통해 우주 발사체 시장에서 도약의 날개를 달았다. 미국 텍사스에 본사를 둔 파이어플라이가 새 투자자로부터 1억7500만 달러(약 2460억 원)를 끌어모았다고 미국의 많은 매체들이 12일 보도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파이어플라이의 민첩한 우주 대응 역량에 주목한 RPM 벤처스가 주도했다. 펀딩에는 기존 투자자들도 참여했다.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이번 펀딩은 시리즈D로 스타트업이나 기업이 성장을 가속화하거나 확장하기 위한 후반 단계의 투자 라운드다. 확보된 자금은 알파(Alpha) 로켓 생산 확대와 엘리트라(Elytra) 우주선의 시장 확장에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올해 말 달 착륙선 발사와 내년 엘리트라의 첫 임무를 앞둔 파이어플라이는 사업추진에 힘을 받게 됐다. 알파는 저비용 소형위성 발사를 목표로 개발된 2단 로켓이다. 약 1000kg의 탑재체를 저궤도(LEO)에 보낼 수
NASA의 JPL이 대규모 감원을 단행했다. / JPL, space.com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핵심 조직인 제트추진연구소(JPL)가 대규모 감원을 단행했다. 감원 규모는 325명으로 전체 JPL 인력의 약 5%에 해당한다. JPL은 감원 이유를 예산 압박 때문이라고 했다. JPL은 이번 결정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등장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1936년 설립된 JPL은 NASA의 핵심 조직으로 재정지원과 운영은 NASA가 맡고 실제 업무는 캘리포니아공대(Caltech)가 맡고 있다. JPL은 주로 우주 탐사 장비를 개발하고 만든다. 무인 탐사 차량으로 화성에서 생명체 흔적을 찾고 있고, 태양계 내 다른 천체를 향해 발사된 탐사선도 운영 중이다. JPL은 현지시간 12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날 로리 레신 JPL 소장이 직원들에게 보낸 e메일 내용을 공개하면서 325명의 정직원이 정리해고될 것이라고 밝혔다. 감원 이유에 대해 JPL은 “예산이 부족한 여건에서 현재 예상되는 작업을 수행하려면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현지 언론에서는 ‘화성 샘플 반환’ 사업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J
'주하이 에어쇼'에 등장한 중국 5세대 스텔스기 J-35A와 러시아 5세대 전투기 Su-57. / 연합뉴스 중국 최대 에어쇼가 개막했다. 중국 최신예 무기들이 총출동하는 '제15회 중국국제항공우주박람회(주하이 에어쇼, Zhuhai Airshow, 中国航展)'가 12일 중국 남부 광둥성 주하이에서 개막해 17일까지 엿새간 진행된다. 주하이 에어쇼는 중국 광둥성 주하에(珠海)에서 2년에 한번씩 개최되는 초대형 에어쇼다. 1996년 처음 시작돼 매번 11월에 개최된다. 중국 최대 에어쇼로 잘 알려진 주하이 에어쇼에서 군사 전문가들은 중국군의 발전상을 가늠해보고 해외 기업들은 중국 업체들과 구매 계약을 타진한다. 이번 주하이 에어쇼에는 47개 국가 및 지역에서 1022개 업체가 참가했다. 해외 참가기업은 78개에서 159개로 104% 증가했다. 중국 관영 매체들과 주요 외신에 따르면 다양한 신무기들이 이번 에어쇼를 통해 처음 일반에 선보이는데, 가장 주목 받은 것은 중국의 두번째 5세대 스텔스 전투기 J-35A다. 중형 스텔스 다목적 전투기 J-35A는 2017년 실전 배치된 5세대 스텔스 전투기 J-20에 이어 개발됐다. J-20보다 작고 가벼워 스텔스 능력에 초
국정원은 8일 '뉴스페이스 크루' 출범식을 가졌다. / 국정원,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은 우주안보 역량 강화와 우주 산업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의체 '뉴스페이스 크루'를 출범했다고 12일 밝혔다. 11월 8일 열린 협의체 출범식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한화시스템 등 9개 기업과 한국우주안보학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4개 기관이 참석했다고 국정원은 전했다. 정부가 우주 개발을 주도하는 '올드 스페이스시대'와 달리, 뉴스페이스는 민간이 우주 개발을 주도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국정원은 산업계·기관과 활발히 교류하며 정부의 우주안보 분야 정책과 우주자산 개발·운영에 대한 제언을 듣고, 업계의 관심 사안과 애로를 적극 파악해나갈 방침이다. 윤오준 국정원 3차장은 "우주 공간이 새 국가 안보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이번 협의체 출범을 계기로 우주안보 관련 자산을 효율적으로 도입·운영하고, 역량 제고를 위해 민간과 상생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