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 하모니 모듈의 전방 포트에 도킹되어 있는 보잉의 스타라이너(가운데). / NASA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두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와 수니 윌리엄스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한번 연기된 지구귀환 예정일보다 4일을 더 지내야 한다. NASA는 귀환일정이 더 늦춰질 수도 있음을 암시했다. 더 많은 임무 수행이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일정을 맞출 수 없게 된 것은 불안 요소다. 스페이스닷컴 등에 따르면, 보잉의 첫번째 승무원시험비행(CFT)인 CST-100 스타라이너의 ISS 도킹 해제 후 지구귀환은 미국 현지시간 6월 18일에서 22일로 두번째 늦춰졌다. NASA는 14일 "NASA와 보잉은 ISS에서 CFT 임무 종료를 일러야 6월 22일로 목표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보잉의 스타라이너가 또 다른 지연에 봉착했기 때문. 10년 가까이 기다린 끝에 발사와 ISS 도킹에 성공한 스타라이너 우주선은 캡슐 내 헬륨 누출과 돌발 상황에 발목이 잡히는 양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NASA의 상용승무원프로그램(CCP)의 일환으로 부치와 수니는 6월 5일 오전 10시 52분 플로리다의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의 아틀라스
우주유영 전 우주복을 살펴보는 NASA 우주비행사 다이슨(가운데), 배랫(오른쪽)과 도미니크(왼쪽) / NASA 미국 현지시간 6월 13일로 예정됐던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우주비행사 2명의 우주유영(spacewalk)이 일단 취소됐다. NASA가 밝힌 우주유영 전격 연기 이유는 '우주복의 불편 문제(spacesuit discomfort)' 때문이었다. 미국 스페이스닷컴 등에 따르면, 국제우주정거장(ISS) '익스피디션 71'의 우주비행사 트레이시 다이슨과 매트 도미니크가 ISS의 퀘스트 에어록에서 빠져나가기 한 시간 전에 '없던 일'이 됐다. 이번 우주 유영에서 두 우주 비행사는 ISS의 로봇 팔의 도움을 받아 실험실 모듈 중 하나에서 일부 통신 장비를 제거할 계획이었다. 그들은 또 '정거장 통풍구를 통해 방출된 미생물이 외부 미세 중력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ISS의 표면을 면봉으로 닦을 예정이었다. NASA의 연기 결정 통보를 받았을 때는 오전 7시 25분경. 그때 그들은 선외활동(EVA)을 위해 이미 우주복을 입고 있던 중이었다. NASA도 EVA 실시간 스트리밍을 진행 중이었다. 하지만 우주복 불편을 겪은 비행사가 누구인지는
올해 2월 시험발사를 앞둔 뉴 글렌 ‘패스파인더(pathfinder)’발사체 / Blue Origin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민간기업 지원과 함께 미국 우주군도 민간기업 파트너 활용의 폭을 더 넓혀가고 있다. 미국 우주군은 국가안보우주발사 3단계 발사 서비스 프로그램(약칭 NSSL 3단계 프로그램) 계약자로 블루 오리진, 스페이스X,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를 선정했다. 미 국방부는 13일 이같은 고객사 선정 내용을 발표했다. 3개 기업은 2025~2029 회계연도 5년 동안 56억 달러(한화 약 7조7000억원) 규모의 사업에 참여하게 됐다. 미국의 스페이스뉴스 등 언론보도에 따르면, 미 우주군은 5년간 최소 30개의 NSSL ‘레인1(Lane 1)’ 미션을 발주할 예정이다. 발주는 개별 발사 임무에 앞서 최대 2년 전에 이뤄진다. ‘레인2’ 사업자도 올 가을에 최대 3건의 선정을 기다리고 있다. 이번 3단계 계약 선정은 무엇보다 블루 오리진에게 큰 승리다. 억만장자 제프 베이조스가 설립한 우주기업이 민감한 국가안보위성 발사 임무를 처음으로 맡게 됐기 때문. 3개 기업 중 스페이스X와 보잉-록히드 마틴의 합작사 ULA는 2020년에 시작된 2
하루 한대 꼴 스타십 생산을 목표로 막바지 공사 중인 '스타팩토리' 전경. / SpaceX "스타십 우주선을 하루에 한대씩 생산하는 시스템 구축하겠다." 100명이 탑승할 수 있고, 121m 높이에 달하는 초거대 우주선 '스타십(Starship)'이 6월 6일 성공적으로 발사된 지 1주일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스페이스X는 새 조립공장 '스타팩토리(Starfactory)'에 1억 달러(한화 1374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초대형 투자를 통해 텍사스 주 보카치카에 있는 '스타베이스(Starbase)' 단지에서 하루에 한 대 꼴로 스타십을 만들어 내겠다는 야심찬 의도다. 물론 장기적인 얘기다. "최신 버전의 스타십은 신뢰성, 제조 용이성 및 궤도 탑재량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스페이스X의 CEO 일론 머스크도 소셜미디어 X를 통해 새 버전의 스타십에 대해 의미있는 코멘트를 했다. 한 마디로 대량 생산이 더 쉽도록 스타십을 재설계했다는 것.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로켓인 스타십의 네번째 승무원시험비행(CFT)은 스페이스X에게 새로운 이정표를 안겨주었다. 이번 시험 비행에서 스페이스X는 스타십의 1단 부스터인 슈퍼헤비(Super Heavy)는
연습 비행 동안 무중력을 경험한 ‘인스피레이션4’의 민간인 승무원들. / Inspiration4 crew John Kraus 태양계에서 생활하는 인간에게 지구처럼 살기 좋은 곳은 없다. 지구를 떠나 국제우주정거장(ISS) 같은 곳으로 우주 비행을 할 때 가장 염려하는 것은 무엇일까? 우선 안전과 건강 문제를 들 수 있다. 우주여행은 분명 건강에 영향을 줄텐데 얼마나 나쁠까? 이러한 의문은 달을 넘어 화성까지 가려는 우주비행사뿐만 아니라 우주관광 사업자에게도 중요하다. 우주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 보고서가 공개됐다. 과학 웹사이트 '피스오알지(phys.org)' 등에 따르면, 2021년 지구 궤도에 대한 세계 최초 민간인 임무를 마친 4명의 생체검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수십 편의 연구논문이 현지시간 6월 11일 발표됐다. 스페이스X의 유인우주선 '인스피레이션4(Inspiration4)' 임무로 ISS에서 사흘을 보낸 이들 4명의 검진 데이터를 64명의 다른 우주비행사와 비교한 결과다. 그 결과가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전 세계 100여 개 기관의 연구자들이 조사한 결과, 인간의 신체는 우주에 도달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빌 넬슨 NASA 국장(왼쪽 두번째)과 릴리트 마쿤츠 주미 아르메니아 대사(오른쪽) 등이 지켜보는 가운데 므키타르 하이라페티안 아르메니아 첨단기술산업부 장관이 12일 워싱턴 NASA 본부에서 아르테미스 협정에 서명했다. / NASA 세계 각국이 앞다투어 가입하고 있는 아르테미스 협정(Artemis Accords)에 아르메니아 공화국이 서명했다. 이로써 아르메니아는 43번째 서명국가가 됐다. 아르테미스 협정 서명국은 올해에만 10개국으로 늘었다. 각종 우주 탐사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아르테미스의 영향력도 점점 커지고 있다. 아르테미스 협정은 1970년대 아폴로 프로젝트 이후 50여년 만에 달에 우주인을 보내기 위한 유인 달탐사 프로그램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진행 중인 미국이 주도했다. 평화적 목적의 달·화성·혜성·소행성 탐사 및 이용에 관해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참여국들이 지켜야 할 원칙을 규정한 이 협정은 지난 2020년 10월 미국과 일본, 영국 등 8개국의 서명으로 첫 걸음을 뗐다. NASA에 따르면 빌 넬슨 국장은 현지시간 6월 12일 워싱턴 NASA 본부에서 미 국무부와 함께한 행사 중에 아르테미스 협정에 가장 최근에 동참한 아
바티칸 천문대의 제2차 학술회의를 알리는 포스터. / Vatican News 가톨릭교회에는 천문대도 있다. 전세계 가톨릭교회의 총본산인 이탈리아 바티칸 시국과 가까운 로마 외곽에 있다. 또한 천문학자들도 의외로 많다. 그런데 그 천문대가 이달 중 두번째 학술회의를 연다. '블랙홀, 중력파, 시공간 특이점...' 이번에 다루는 주제도 특이해서 우주애호가들의 눈길을 끈다. 바티칸 뉴스 등에 따르면, 바티칸 천문대(Vatican Observatory)가 6월 17일부터 21일까지 로마 남동쪽 카스텔 간돌포에서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한다. 2017년 첫 학술회의에 이어 7년만이다. 가이 콘솔마뇨 천문대 소장(예수회 수사)이 지난 11일 교황청 공보실 기자회견에서 학술회의 의제 등을 발표했다. 벨기에 천문학자이자 가톨릭 사제인 조르주 르메트르(Georges Lemaître) 몬시뇰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는 주제를 선택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빅뱅 이론을 개척하고 아인슈타인을 비롯 당대 위대한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준 르메트르의 유산을 살펴본다. 그의 통찰력이 우주론, 빅뱅과 블랙홀을 포괄하는 시공간 특이점의 불가사의한 특성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토론할 예정이다. 이어 중
화성의 올림푸스산 칼데라에서 고해상도 CaSSIS가 포착한 물 서리. / ESA "태양계의 붉은 행성 화성에서 올림픽 수영장 60개 규모의 물 서리(water frost) 조각이 발견됐다." 적도의 화산에서 찾아낸 새로운 연구 결과가 행성 연구자들을 흥분시키고 있다. 불모의 땅으로 알려졌던 화성에 생명의 조건인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유럽우주국 ESA와 CNN과 ABC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화성의 적도 고원에 위치한 3개의 타르시스 화산 꼭대기에서 얇지만 널리 퍼져 있는 물 서리 층이 포착되고 표면과 대기 사이에 물순환이 확인됐다. 이같이 놀라운 장면은 ESA의 Mars Express 미션에 의해 최초로 포착됐고, 관련된 화성탐사 데이터들을 분석 연구한 결과가 6월 10일 ‘네이저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저널에 발표됐다. 스위스 베른대학 등의 연구자 다수가 참여한 이 연구에 따르면 올림푸스 몬스(Olympus Mons) 분화구에서 물 서리가 아침에 형성됐다가 오후에 사라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12개의 큰 봉우리로 이루어진 타르시스 화산은 우리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지형이다. 그중 올림푸스 몬스, 아르시아 몬스(
국제우주정거장 안에서 기존의 우주비행사들과 보잉 스타라이너 시험비행으로 합류한 두 승무원이 함께 기념사진을 찍었다. 앞줄 파란 옷을 입은 사람들이 수니(왼쪽)와 부치다. 그 가운데 있는 사람이 최근 인류 최장 우주체류 1000일 기록은 세운 올렉 코노넨코. / NASA TV "우주비행사들은 궤도에서의 추가 시간을 통해 6월 13일 우주 유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동안 엔지니어들은 스타라이너 시스템 점검을 마칠 것이다.” 미국 항공우주기업 보잉의 우주선 '스타라이너(Starliner)'를 타고 국제우주정거장 ISS로 간 첫번째 임무가 순항 중이다. 우주선과 두 우주비행사의 ISS 체류가 당초 계획보다 조금 더 지속되게 됐다. 발사 이후 캡슐에서 감지된 3건의 헬륨 누출 점검도 연장 체류에 한몫 한 것으로 보인다. 스타라이너는 미국 현지시간 6월 5일 NASA 소속 부치 윌모어와 수니 윌리엄스를 탑승시키고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기지에서 발사됐다. ‘승무원시험비행(CFT)’이라는 이름의 이번 임무에서 두 우주비행사는 6일 ISS에 안착했다. 미 항공우주국 NASA는 9일 소셜미디어 X를 통해 “CFT 귀환 날짜를 6월 18일로 설정했다”고 알렸다. 이는
‘스고’ 자동차 경주 예선 통과 후 포즈를 취한 마에자와 유사쿠(前澤友作). / X 캡처 '디어문(dearMoon)' 프로젝트를 주도하면서 세계적 유명인사들을 달 여행의 꿈에 부풀게 했던 일본의 갑부 마에자와 유사쿠(前澤友作)가 자동차 경주에 참가했다가 추돌사고로 경상을 입으면서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소셜미디어 X와 NHK,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조조(ZOZO) 창업자이자 '괴짜 억만장자'로 알려진 마에자와 유사쿠(前澤友作)가 9일 혼슈 동북부 미야기현의 복합 레저시설 '스포츠 랜드 스고'에서 열린 자동차 경주에 참가했다 마에자와가 몰던 페라리가 앞차와 추돌해 여러 차례 구르는 사고를 당했다. 그는 사고 직후 센다이시의 한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중상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마에자와는 9일 밤 X를 통해 "사고 후 바로 병원에서 검사받았고 경상이어서 호텔로 돌아와 안정을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레이스 도중 브레이크 고장으로 사고를 일으켰다. 추돌당한 차의 운전자는 경상만을 입고 병원 치료 후 귀가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회에 참가한 모든 레이서들과 대회 관계자들, 본인의 사고에 놀라고 관심을 가진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