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와 다른 우주환경을 탐사하면서 인류의 생활을 개선하고 미래를 개척하는 우주정책을 결정하는 최상위급 국제회의가 국내에서 처음 열려 지구촌 우주기관 수장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전세계 주요 우주기관들이 모여 우주탐사 상호협력을 논의하는 '국제우주탐사협의체(ISECG) 고위급 회의'가 7, 8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은 "12월 7∼ 8일 인천 송도 경원재 앰배서더에서 '2023년 국제우주탐사협의체(ISECG) 고위급(SAM)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ISECG 국제우주탐사협의체는 우주기관 간 우주탐사 관련 상호 교류와 협력 촉진을 위해 마련된 국제협의체로, 우리나라에서는 항우연이 2007년에 설립회원으로 가입하였다. 우리나라에서 ISECG 회의가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기정통부 최병일 우주협력전문관과 항우연 김성훈 부원장이 대한민국 대표로 참석하는 이번 ISECG 고위급회의에는 미국 항공우주청(NASA)의 우주탐사시스템본부장 짐 프리(Jim Free), 유럽우주청(ESA)의 유무인탐사본부장 다니엘 노이엔슈반더(Daniel Neuenschwander)를 비롯해 캐나다, 일본, 이탈
'첫번째 빛'. 온통 까만 우주가 아니다. 작게 빛나는 별들이 흩어져 있다. 소행성 탐사선 프시케가 발사 8주만에 보내온 첫 이미지다. / NASA 온통 캄캄한 공간 속에 작게 빛나는 별들이 포착되기 시작했다. 지구에서 2600만km 떨어져 있는 우주공간에서 외롭게 비행하고 있는 미국 NASA의 우주선 프시케(Psyche)가 소행성 프시케를 탐사하러 가기 위해 10월 13일 지구를 떠난 이후 8주간의 비행을 하면서 보내온 첫 이미지다. '첫번째 빛(First Light)'이다. 프시케가 쌍둥이 카메라를 켜고 촬영한 2장의 사진을 좌우에 붙인 사진이 바로 이 위의 '첫번째 빛'이다. 12월 4일 월요일, 역사적인 소행성 탐사선 프시케가 성공적으로 비행하고 있음을 이렇게 알렸다. NASA에 따르면, 프시케는 현재 2600만km(1600만 마일) 떨어진 곳에 있고, 2029년 화성과 목성 사이의 주요 소행성대에 있는 소행성 프시케에 도착하게 된다. 이 연구팀의 과학자들은 탐사선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교정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이 있는지 혹인하기 위해 비행초기에 시험했다. 위의 모자이크 사진은 4일 NASA의 프시케의 두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첫번째 빛
지구촌 우주개발 경쟁이 뜨겁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최근 활발하게 '우주 자생력'을 키워가고 있다. 특히 국방과 관련해 연속된 민관군 협력 우주발사체 실험 성공은 독자적으로 우주개발에 뛰어들 수 있는 역량을 키워가고 있는 단초로 읽힌다. 우리 군은 12월 2일 미국에서 사상 첫 한국 군사정찰위성의 발사에 성공한데 이어, 4일에는 제주에서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3차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특히 이번 제주 발사에는 민간에서 순수 국산기술로 개발한 관측위성을 탑재하고 있어, 대북 킬체인(선제타격)용 소형 정찰위성을 독자적으로 쏘고 운영할 수 있게 됐음을 뜻한다. 고체연료 사용, 쉽게 우주발사체 발사 가능 군에 따르면, 3차 시험발사가 지난해 1, 2차 발사와 가장 다른 점은 실제 위성체를 실어 궤도에 올렸다는 것이다. 1, 2차 발사는 더미(모형) 탑재체만 얹어서 엔진 연소와 단·페어링(위성보호덮개) 분리, 자세 제어 등 추진체 성능 검증에 주력했다. 이번 발사는 국내 업체(한화시스템)가 개발한 지구관측용 소형 위성(약 101kg)을 지구 저궤도(약 650km)에 올려서 지상관제소와의 교신 등 실제 위성 발사의 모든 과정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군 관
한국군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 5초 후. 거대한 팰컨9 로켓에 실려 우주궤도로 올라가는데 성공했다. / spaceX 한국의 첫 군사정찰위성이 발사됐다. 우리군의 정찰위성 추진 계획인 '한국 425 프로젝트'의 첫 미션이 성공적으로 추진된 순간이다. 2일 새벽 미국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체에 실려 발사된 군사정찰위성은 궤도에 안착했고, 발사 후 78분 첫 교신에도 성공했다. 북한이 군사위성을 발사하고 11일만이다. 이번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통해 한국의 우주위성 능력이 확장된 것은 물론이고, 한국군은 북한의 침공에 대비한 '킬체인' 역량이 크게 확장됐다. 또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핵심기술을 담당한 것으로 알려져 민관군의 협력에 의한 우주개발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첫 군사정찰위성 1호기, 팰컨9에 실려 발사 국방부와 스페이스X, 그리고 국내외 언론에 따르면, 한국 첫 군사정찰위성 1호기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한국시간 2일 새벽 3시 19분, 현지시간 1일 오전 10시 19분에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발사체 팰컨9에 탑재되어 발사됐다. 발사 후 2분22초, 1단 추진체가 분리돼 떨어져 나갔고, 이어 약 2
미국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우리 군 첫 정찰위성 1호기를 탑재한 미국 스페이스Ⅹ ‘팰컨9’이 2일 새벽 발사되고 있다. / spaceX 한국의 첫 군사정찰위성이 발사됐다. 우리군의 정찰위성 추진 계획인 '한국 425 프로젝트'의 첫 미션이 성공적으로 추진된 순간이다. 2일 새벽 미국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체에 실려 발사된 군사정찰위성은 궤도에 안착했고, 발사 후 78분 첫 교신에도 성공했다. 북한이 군사위성을 발사하고 11일만이다. 국방부와 스페이스X, 그리고 국내외 언론에 따르면, 한국 첫 군사정찰위성 1호기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한국시간 2일 새벽 3시 19분, 현지시간 1일 오전 10시 19분에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발사체 팰컨9에 탑재되어 발사됐다. 발사 후 2분22초, 1단 추진체가 분리돼 떨어져 나갔고, 이어 약 20초 후에 페어링(위성보호덮개)이 분리됐다. 발사 14분 뒤인 3시33분에는 2단 추진체에서 분리된 정찰위성 1호기가 목표로 설정했던 우주궤도에 정상 진입했다. 팰컨9이 발사되고 2분22초 후에 1단 추진체가 분리돼 떨어져 나갔고, 이어 약 20초 후에 페어링(위성보호덮개)이 분리됐다. 우주궤도
"나의 이름(Yunho Choi)이 목성의 달, 유로파에 갑니다." "코스모스 타임즈 독자 여러분도 이름을 유로파로 보내 보세요." 외계인이 있다면, 기자의 이름 '최윤호(Yunho Choi)'를 알게 될 것이고, 없더라도 멀고먼 별나라 유로파에 그 이름이 남게된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에서 진행하고 있는 지구인 이름 목성달에 남기기 프로젝트 덕분이다. NASA는 2024년 10월 발사 예정인 목성 위성 탐사선 '유로파 클리퍼(Europa Clipper)'에 자신의 이름을 실어 보내고픈 사람들의 신청을 받고 있다. 미국 동부 시각 기준 12월 31일 오후 11시 59분까지 접수한다. NASA 홈페이지에서 이름과 국적만 등록하면 된다. 미국식 우편번호를 우체국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 복사, 붙여넣으면 된다. 전체 과정에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공짜다. ‘병 속 메시지(Message in a Bottle)’라는 이름으로 진행 중인 행사는 신청자의 이름과 함께 미국 계관시인 아다 리몬의 헌정시를 마이크로칩에 담아 탐사선에 싣는다. 미국 의회도서관에서 계관시인 칭호를 받은 아다 리몬은 이번 탐사를 위해 ‘신비를 찬양하며: 유로파에 바치는 시(In Praise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10월에 열린 미국 최대 규모 우주산업 콘퍼런스 ‘ASCEND’에서 김정균 보령 대표가 개막 연설을 하고 있다. 이곳에서 보령이 주최한 ‘휴먼 인 스페이스’챌린지의 결선이 치러졌다. / 보령 미국의 우주기업 액시엄 스페이스(Axiom Space)에 6000만 달러를 투자하고 조인트 벤처를 설립하는 등 '우주산업'에서 미래 먹거리를 찾고 있는 보령이 이번에는 우주 스타트업 발굴과 투자에 나섰다. 보령은 우주에서 장기 체류를 상정했을 때 필요한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을 발굴해 육성하기 위해 진행된 ‘2023 휴먼 인 스페이스(HIS·Human In Space)’ 챌린지의 최종 수상팀 12곳을 선정해 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스타트업 기업 7곳과 연구팀 5개다. HIS 챌린지는 보령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의 스핀오프 기업인 아우렐리아 인스티튜트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우주 스타트업 발굴·투자 프로젝트다. 유망한 우주 스타트업을 발굴해 거대한 우주 헬스케어 및 연구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선정된 기업은 한국의 파프리카랩과 바이오뱅크힐링을 비롯해 7곳. 파프리카랩은 피부패치 형태의 방사선 측정기 기업이고, 바이오뱅크힐링은 장내 미생물 분
2022년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준비 중인 NASA의 프시케 우주탐사선. 탐사선의 가운데 금으로 씌워진 부분이 DSOC 레이저 통신기이다. / NASA 지구와 달의 거리는 38만km가 조금 넘는다. 그보다 40배쯤 먼 1600만km 떨어진 우주와 지구 사이의 첫 광통신이 성공했다. '첫번째 빛(first light)'이라고 불린, 레이저를 이용한 이 통신은 달보다 먼 거리에서 실시간으로 이뤄진 첫 교신이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에 따르면, 달 너머 먼 우주에서 지구로 고속·고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NASA가 추진한 '광통신(Deep Space Optical Communications·DSOC)'이 우주에서 첫 시연을 성공적으로 수행됐다. 현지시간 24일, NASA는 "지구에서 1600만㎞ 떨어진 우주에서 발사된 첫 광통신 레이저가 이달 14일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팔로마 천문대에 있는 헤일 망원경으로 전송됐다"고 밝혔다. NASA는 지난달 13일 금속 성분으로 이뤄진 소행성 '프시케'를 탐사할 우주선 '프시케'를 우주로 보내면서 탐사 활동의 일환으로 초기 2년간 광통신을 실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주 광통신은 실험 단계이기 때문에 프시
스페이스X의 거대 우주선 스타십이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 spaceX '성공한 실패' '성공적인 실패'라고 해석할 수 있는 'Successful Failure'. 이 말은 우주 탐사의 역사에서 아폴로13호에 사용되는 용어다. 달 착륙 미션을 수행하기 직전 우주선에 폭발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미션을 중단한 우주선과 우주인을 무사히 지구로 귀환시키기 위한 작전이 진행됐다. 우여곡절 끝에 미증유의 생환작전은 성공했고 사람들은, 그 불가사의한 작전을 기려, 아폴로13호를 '성공한 실패'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최근, 이 말이 다시 등장했다. "발사의 첫 단계가 성공적이었고, 스타십이 로켓에서 분리되어 비행을 계속했기 때문에, 결국 폭발했더라도 이번 테스트 비행은 '성공적 실패'로 규정되어야 한다." 하버드-스미소니언 우주물리학센터의 조너선 맥도웰이 한 말이다.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NASA의 고위 관계자들도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에 축하인사를 보냈다. 2024년과 2025년에 걸쳐 아르테미스3 미션을 진행하며 유색인종과 여성 우주인을 달에 보내려고 하는 NASA의 탐사 시스템 개발 부국장 짐 프리는 X에 "이번 실험은 아르테미스3 유인 우주선 발사를 통해 달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머물고 있는 우주인들이 지구에 있는 사람들에게 "아름답고 독보적인 지구의 모습을 보는 특별한 경험에 감사하고 있다"면서 "모든 분들에게 추수감사절을 맞아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고 추수감사절 동영상 메시지를 보냈다. 우주인들은 우주라는 미지의 세계가 주는 많은 위험요소들을 감수하고 우주탐사에 헌신하고 있다. / NASA 방사선은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우주 공간에는 방사선이 강력하게 존재한다. 그러므로 우주에 가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건강대비책을 마련해 주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우주비행사들은 발기부전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우주방사선과 무중력 등이 남성의 생식 건강에 미친 영향을 최초로 확인한 연구다. 다행히도 과학자들은 해결방안도 찾아냈다. 저스틴 라 페이버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보건대학 교수 연구팀은 ‘미국실험생물학회(FASEB)’ 학회지에 우주 비행이 남성 생식 건강에 미친 영향을 확인한 동물실험 결과를 현지시간 22일 발표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달에 다시 사람을 보내는 ‘아르테미스 계획’ 등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연구팀은 우주비행사들의 건강에 대한 연구데이터가 축적돼야 할 것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