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은 2023년 11월 21일 22시 42분 28초에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북한조선통신이 보도했다. / 연합뉴스 북한이 정찰위성을 쏘아올렸다. 21일 오후 10시42분,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신형 발사체 천리마1형에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싣고 발사에 성공했다고 북한이 주장했다. 북한은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북한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만리경1호’가 앞으로 7∼10일간의 ‘세밀조종공정’을 마친 뒤 12월 1일부터 정식 정찰 임무에 착수하게 된다”고 보고했다고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이날 오전 9시21분 수신된 태평양 지역 괌 상공에서 앤더슨 미 공군기지와 아프라항 등 미군의 주요 군사기지 구역을 촬영한 항공우주사진들을 봤다고 북한은 발표했으나 사진을 공개하지 않아 사실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발사체는 예정된 비행 구도를 따라 정상적으로 비행했으며,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켰다는 주장이다. 과거 북한은 올해 5월 31과 8월 24일 천리마1형 발사를 시도했으나, 실패한 바 있다. 궤도진입은 '성공'
11월 18일 아침에 발사된 스페이스X의 스타십 발사 장면을 지켜보는 많은 관객들이 환호하고 있다. / space.com 크리스마스 전에 거대한 우주선이 다시 발사될 가능성이 커졌다. 우주팬들에게는 일론 머스크의 커다란 크리스마스 선물이 준비되고 있다는 전망이 등장했다.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창업자 겸 CEO는 현지시간 19일 소셜 네트워크 X를 통해 "3~4주 안에 (스타십이) 비행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말은 크리스마스 전에 스타십이 다시 발사될 기술적 준비가 될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렇지만, 머스크의 의도만으로 발사가 되는 것은 아니다. 스페이스X는 다시 미연방항공청(FAA)으로부터 발사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 기관은 현재 11월 18일의 스타십 두번째 시험비행 중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조사를 감독하고 있기 때문에 그 결과에 따라 발사 허가가 결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 남부 텍사스주에 위치한 스페이스X의 스타기지에서 이륙한 이번 임무는 발사 90분 만에 하와이 인근 태평양에서 스플래시다운을 하며 스타십의 상부부위를 지구 주위로 보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비행은 '응급사태'로 인한 자폭으로 약 8분 만에 끝났다.
발사 2분전의 사상 최대 우주선 '스타십'의 모습. 때마침 일출과 어우러지며 장관이 연출됐다. / space.com 화면캡처 지상 최대의 로켓이 두번째로 발사됐으나, 교신이 끊기면서 자폭시스템을 작동시켜 폭발됐다. 스페이스X의 달과 화성 탐사용 초대형 우주선 '스타십(Starship)'의 시험비행이 장엄하게 발사되고 로켓 분리까지 성공했으나, 10분이 지난 뒤 교신이 끊겨 '절반의 성공'에 그쳤다. 달 탐사를 넘어 화성으로의 인간이주를 목표로 삼고 있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실현해 가는 거대한 꿈의 첫발은 스타십의 자폭으로 막을 내렸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는 현지시간 18일 오전 7시 3분 미국 텍사스주 보카치카 해변의 우주발사장 ‘스타베이스’에서 '스타십'을 탑재한 '슈퍼헤비(Super Heavy)' 로켓을 발사했다. 스타십은 발사 55초 후 발사체가 가장 큰 압력을 받는 ‘맥스 큐’ 구간을 무사히 통과해, 2분 52초 후 1단 발사체인 ‘슈퍼헤비’를 분리했고, 로켓은 30초 뒤 상공 90km에서 폭발했다. 이후 2단에 해당하는 ‘스타십’이 고도 148km까지 올라갔지만, 지상과의 교신이 두절되자 ‘비행 정지 시스템’이 가동돼 스스로 폭발
달 착륙선 발사를 계획하고 있는 일본 기업 '아이스페이스'의 홈페이지에 실린 달 착륙선 이미지. 일본의 민간기업 최초로 달 착륙에 도전했으나 올해 4월 고배를 마신 '아이스페이스(ispace)'가 내년 겨울에 달 착륙선을 두번째 발사한다고 밝혔다. 16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아이스페이스 달 착륙선은 스페이스X 로켓에 실려 2024년 10∼12월께 발사된 뒤 2025년에 착륙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달 표면에서 모래를 채취하는 미션을 수행할 예정이다. 아이스페이스는 착륙선에 새롭게 개발한 모래 채취용 소형 탐사 차량을 탑재할 방침이다. 이 차량은 높이 26㎝, 폭 31.5㎝, 길이 54㎝이며 무게는 약 5㎏이다. 모래 채취 모습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도 설치됐다. 앞서 아이스페이스는 지난해 12월 11일 달 착륙선을 발사했고, 이 착륙선은 올해 4월 26일 임무 달성을 목전에 두고 연료 부족으로 급격히 하강해 달 표면과 충돌했다. 아이스페이스는 당시 실패가 고도 판단 착오에서 비롯됐다고 보고,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달 탐사 프로젝트를 '하쿠토-R'로 명명한 아이스페이스는 달 표면 자원 개발, 달과 지구를 오가는 수송 서비스 등을 추진하고
2035년에는 달에 인간이 거주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우주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만큼 2035년 정도에는 인류가 (달 거주 등)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주투자 기업 IBX 캄 가파리안 대표이사의 언론 인터뷰에 포함된 말이다. 민간 우주기업들이 성장하면서 점점 우주 탐사 비용이 낮아지고 있고, 개별기업들의 특성에 맞는 생산물들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고향인 지구를 보호하고, 새로운 고향을 찾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한다는 가파리안 CEO는 달 착륙선을 개발하는 ‘인튜이티브머신즈’, 민간 상업 우주정거장 건설에 나선 ‘액시엄 스페이스’, 우주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퀀텀스페이스’, 소형 모듈 원전(SMR) 개발 미국 선두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 등 다양한 첨단 기술 기업을 창업했다. 달 토양을 모사한 흙에서 자라는 담배 모종. / Yitong Xia 제공, 연합뉴스 점점 가능해지는 농사짓기 화성에 혼자 남은 우주인이 생존을 위해 농사를 시작한다. 영화 <마션>의 꿈같은 이야기가 점점 현실이 되어 가고 있다. 최근 중국 베이징대학 농대 연구팀이 달의 토양(lunar regolit
넷플릭스를 통해 두편의 영화를 보았다. 우주영화와 바다영화, 위대한 자연에 도전하는 여성이 주인공인 두 영화. 극소수의 사람만이 도전할 수 있는 일에 도전해 성공신화를 이룩한 여성에 관한 두 영화. 하나는 픽션이고 하나는 실화다. 감동적인 두 영화에는 아주 민감한 차이점이 있다.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의 중요한 키포인트가 하나는 페미니즘을 품고 있고, 하나는 나이듦을 품고 있다. 우주인이 되는 조건은 엄청난 수영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무중력 활동을 위해 비슷한 동작이 가능한 장시간 수영 능력이 필요하고, 이같은 ‘일상 미션활동’은 물론이고, 비상상황에서 공기가 부족한 여건에 놓일 때 대처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심폐기능의 확장이 필수적이다. 그런 점에서 마라톤수영이라는 특이한 바다수영 영화와 우주인의 훈련과정을 다룬 영화가 상통하는 바 있어, 코스모스 타임즈에서 비교해 다뤄도 좋은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 <프록시마>와 <나이애드>. 이 두 영화는 각각 <프록시마 프로젝트>와 <나이애드의 다섯 번째 파도>라는 번역제목으로 넷플릭스에 공개되어 있다. 나는 도전과 인간승리(인간승리는 꼭 승리하지 않아도
아폴로8호 선장으로 달 궤도를 돌며 달의 이면을 최초로 목격한 인류가 된 프랭크 보먼이 11월 7일 별세했다. / NASA "아폴로8호 승무원 일동은 지구에 있는 여러분 모두에게 신의 축복이 있기를 기원한다. 메리 크리스마스!" 1968년 크리스마스에 지구인들은 아주 특별한 성탄인사를 받았다. 달의 궤도를 돌고있는 인류 최초의 인간으로부터 온 인사였다. 달의 이면을 최초로 본 인간, 달에서 '뜨는' 지구를 최초로 본 인간, 아폴로8호의 선장 프랭크 보먼(Frank Borman)의 인사였다. 달에서 성탄인사를 보낸 인류 역사상 최초의 인간인 보먼이 현지시간 11월 7일, 미국 몬태나주의 한 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향년 95세. NASA에 따르면 보먼의 가족 대변인인 짐 매카시는 보먼이 지난 7일 몬태나주 빌링스 의료센터에서 뇌졸중으로 치료를 받던 중 사망했다. 보먼은 2016년 미 우주 비행사인 존 글렌의 사망 이후 미국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우주비행사였다. 보먼은 1968년 12월 인류 최초로 달의 궤도에 진입한 아폴로8호의 선장이었다. 당시 조종사였던 제임스 로벨, 윌리엄 앤더스와 함께 지구를 떠난 보먼은 편도로 37만8000㎞를 날아가 달 궤도에 안착,
The Horsehead Nebula. 말머리 성운. / ESA 우주의 광활한 모습을 깊이 있고도 선명하게 담아낸 유럽 우주망원경 사진이 공개돼 먼 우주의 신비로운 모습을 감상할 수 있게 됐다. 유럽우주국(ESA)은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첫번째 사진 5장을 현지시간 7일 공개했다. 지구에서 1375광년 떨어져 있는 별들과 먼지 등으로 이뤄진 ‘말머리 성운’을 비롯해 수많은 별이 좁게 뭉쳐 있는 구상성단, 별들이 모인 은하와 은하가 모인 은하단 등 5장의 사진이 포함됐다.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은 ESA가 개발한 라그랑주점 L2 임무용 우주망원경이다. 2023년 7월 1일 오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The Perseus Cluster of galaxies. 페르세우스 은하단. / ESA Globular cluster NGC 6397. 구상성단 NGC 6397. / ESA 이번에 공개된 사진들은 유클리드의 첫 풀컬러 이미지들이다. 이전에 있던 이미지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명확하고 선명한 천문우주 사진으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이 이미지들을 기본으로 해 비밀에 쌓여있는 우주의 3D지도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일 오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열린 '한-미 우주산업 심포지엄'에서 시라그 파리크 미국 국가우주위원회 사무총장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했다. / 과기정토부 한국과 미국이 우주산업에서의 상호 협력을 내용으로 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정부는 미국과 동맹을 통해 우리 우주산업 기업의 성장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정부 차원에서 양국 우주기업 간 협력을 지원해 1460조 원의 우주시대를 앞당기는 목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국 상무부와 8일 메이필드호텔 서울에서 '한-미 우주산업 심포지엄(ROK-U.S. Space Industry Symposium)'을 개최했다. 한-미 우주산업 심포지엄은 지난해 12월 ‘제3차 한-미 민간우주대화’와 올해 4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우주산업 협력 사항에 대한 후속조치이자 한미 동맹 7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다. 양국의 우주기업 간 교류를 촉진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코리아 스페이스 포럼 2023’의 1일차 행사로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미 백악관 국가우주위원회 시라그 파리크(Chirag Parikh) 사무총장, 상무부 마이클 C 모건(Michael C
7일 오전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한미우주포럼'에서 우주산업 관계자들이 우주 스타트업 사업모델 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 연합뉴스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이해 열린 '한미우주포럼'에 한국 우주 스타트업들이 참여해 사업계획을 공개했다. 한국과 미국의 투자사들도 참여해 스타트업들에 질문을 던지며 미래 투자 가능성을 점검했다. 스페이스맵과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람다마이크로, 컨텍 등 한국 우주기업 4곳은 7일 오전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한미 우주포럼 ‘우주 스타트업 특별 세션’에 참가했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이들 기업에는 발표시간과 투자사들의 질의응답 시간이 주어졌다. 이달 9일 상장을 앞둔 컨텍은 현재 건설 중인 호주 지상국과 함께 제주도와 미국 뉴멕시코주에 지상국을 추가로 만들 계획을 설명했다. 지상국은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컨텍은 위성 이미지 전처리 서비스와 응용 솔루션을 제공한다. 앞으로 5년 안에는 자체 개발한 큐브위성 3기를 발사하고 고해상도 이미지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발표자로 나선 이성희 컨텍 대표는 다른 한국 우주 스타트업들과 협력해 우주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