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에서 본 지구, 지구에서 본 달. 대한민국 첫 달 탐사선 다누리가 달 궤도를 돌면서 9월 15일 촬영해 보내온 지구의 사진(왼쪽)과 9월 29일 추석 밤에 떠오른 휘황한 '슈퍼문' 보름달. / NASA, 연합뉴스 추석 보름달이 떴다. 100년만에 가장 둥글다는 보름달이 2023년 9월 29일 추석 밤하늘을 장식했다. 동쪽 하늘에서 솟아오르자 곧바로 구름 속으로 숨어들긴 했지만, 간간이 환한 얼굴을 드러내며 아름다운 자연의 신비를 보여줬다. 이번 추석 보름달은 달과 지구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보름달 인 슈퍼문이다. 한 해에 3~4번 볼 수 있는 슈퍼문은 올해 7월 3일과 8월 1일, 30일에 이어 이번 추석(9월 29일)까지 4번 떴다. 다음 슈퍼문은 내년 8월로 예상된다. 우주에서는 보름달처럼 동그란 지구 사진이 선물처럼 보내졌다. 다누리호, 우리나라 최초의 달 탐사선인 다누리가 추석을 앞둔 9월 15일 촬영한 선명한 지구 사진이다. 2022년 8월 5일 발사 이후 넉달반의 항해 끝에 달 궤도에 안착한 다누리가 달의 궤도를 돌면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중 우주선의 고향인 지구를 돌아보고, 사진을 찍었다. 이제 우리는 우리가 사는 별, 지구의 전체 모습을
은하 부문 Andromeda, unexpected. / Greewich, space.com 찬란하게 빛나는 별들의 무리인 안드로메다 은하 옆으로 파란 빛무리 같은 플라즈마가 반원을 그리며 빛나는 모습을 담은 사진이 있다. 가끔 볼 수 있는 안드로메다 사진과는 결이 다른 신비로움을 보여주는 이 사진은 올해 세계에서 가장 큰 천체사진 콘테스트 우승작이다. 제목은 ‘안드로메다, 뜻밖의 순간(Andromeda, unexpected). 영국의 왕립 그리니치 천문대(The Royal Observatory Greenwich)는 ‘올해의 천문사진 작가상’을 발표하고 9월 14일 시상식을 가졌다. 15번째 대회인 2023년에는 64개국 4000여 작품이 출품했고, 11개 부문에 걸쳐 우수작품을 선정했다. 그중 종합 우수작은 ‘은하’ 부문의 ‘안드로메다, 뜻밖의 순간’으로 독일의 마르셀 프렉슬러, 프랑스의 자비에 스트로트너, 얀 생티의 작품이다. 드렉슬러 등 3명이 이끄는 아마추어 천문학자 팀이 찍은 안드로메다 은하의 우승 사진은 우리의 가장 가까운 은하로 친숙한 안드로메다 옆에 있는 크고 푸른 플라즈마 반원의 포착 때문이다. 이 플라즈마 줄무늬는 천체물리학자들에 의해 독립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