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가 최근 공개한 중성자성 MSH 15-52 이미지. '유령의 손'이라고 불린다. / space.com 지구에서 1만6000광년 떨어진 거대한 별이 죽으면서 폭발을 일으켰고, 그로 인한 강력한 분출이 ‘유령의 손’처럼 보이는 손가락 형태로 우주에 거대한 흔적을 남겼다. 마치 X레이에 찍힌 손목을 보는 듯하다. 손목의 뼈도 놀랍도록 선명하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는 최근 할로윈을 앞두고 최신 X레이 우주망원경으로 찍은 ‘유령의 손’을 공개했다. 공식적으로는 MSH 15-52라고 불린다. 2021년 12월에 발사된 NASA의 '이미징 X선 편광 탐색기(IXPE)'를 사용하여 과학자들은 MSH 15-52를 약 17일 동안 관찰했으며 펄사의 자기장과 X선 편광에 대해 세부적인 이미지와 설명을 확보할 수 있었다. IXPE는 지구 상공 600㎞에 떠 있으며, 엑스선만 골라 탐지한다. 가시광선에 특화된 허블우주망원경이나 적외선을 잡아내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는 다른 시각으로 우주를 관찰한다. 펄사(pulsar)는 강한 자기장을 가지고 회전하는 중성자성으로, 전기를 띤 입자의 강력한 분출과 펄사풍 성운(pulsar wind nebula)을 형성하는 강한 바람을
■ NASA 선발-훈련 통해본 '우주인 조건' ■ 스페이스X와 아마존이 우주비행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일반인도 우주비행이 가능해진 시대가 열리고 있다. 우주인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시대, 진짜 아무나 우주인이 될 수 있는 것일까. 비싼 비용을 제외하더라도, 신체적 조건은 괜찮을까. 일반인의 우주체험은 아주 짧은 시간에 진행되기 때문에, 크게 어렵지는 않겠지만,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우주인’ 즉 우주비행사가 되는 것은 엄청나게 강력한 체력을 요구받는 일이다. 우주비행사는 우주선을 조종하는 ‘비행 우주비행사(Pilot Astronaut)’와 과학실험을 맡아서 수행하는 ‘임무전문가(Mission Specialist)’로 나뉜다. 좀더 구체적으로 임무에 따라 우주인을 분류하면, △우주선을 총괄하는 우주선장 △우주선을 조종하는 우주조종사 △우주선 및 우주정거장 보수를 담당하는 임무전문가 △각종 과학실험을 수행하는 우주실험전문가 △단기간 과학실험을 수행하는 단기방문과학자 △우주여행객 등 6가지로 분류된다. 공군 조종사 중 우수한 인력을 뽑던 방식에서 벗어나 각계의 전문적 능력을 지닌 사람을 중심으로 우주인을 선발하고 있는 요즘은, 별도로 강인한 체력을
미국 항공우주국 NASA가 '오늘의 사진'으로 6일 공개한 화성의 '곰 얼굴'. / NASA 달나라에는 토끼가 살듯, 화성에는 곰이 산다. NASA의 화성탐사 궤도선(MRO)이 화성의 표면에서 뚜렷한 곰 얼굴을 찍었다. 파레이돌리아(pareidolia)라고 하는 현상이다. 자연 속 사물을 우리 인식 속에서 익숙하게 알고 있는 형태와 닮은꼴로 인식하는 것. 유독 화성에는 아주 뚜렷한 현상들이 많다. 유명한 사람얼굴 형태는 외계인 문명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1976년 화성 탐사선 바이킹 1호가 촬영한 '화성의 얼굴'(NASA)이다. NASA가 '오늘의 사진'으로 10월 6일 공개한 '곰 얼굴'은 MRO가 2022년 12월 12일에 찍은 사진. 사실은 화성에 있는 언덕이다. V자 형태로 붕괴된 지역은 곰의 코 모양을 하고 있고, 2개의 크레이터는 눈이다. 그리고 살짝 파여있는 원형태는 머리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원형 외곽선은 충돌로 인한 크레이터가 안정화되는 과정에서 생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MRO는 2015년 8월 12일에 발사된 화성탐사 궤도선으로 화성 표면의 작은 규모의 형체들을 관찰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 결과로 NASA는 많은 파레이돌
2029년 대한민국은 첫 우주인을 달에 보내는 프로젝트를 과감하게 시도한다. 우리호. 발사 성공. 3명의 우주인은 달의 궤도에 진입한다. 그런데, 태양풍 때문에 우주선에 문제가 생겼다. 고참 우주인 2명이 우주유영을 감행하다 사고로 숨진다. 남은 한명. 그는 달의 얼음 채취라는 미션을 이행해야 하고, 살아남아 지구로 귀환해야 한다. 지상의 과학자들은 유일한 생존자인 그를 구출해야 한다. 당연히 조건은 엄혹하고, 상황은 꼬여있으며, 시간은 촉박하다. 모든 사람의 희생 없이는 불가능한 미션이다. 그 미션은 완수될 것인가. 늘 그렇듯, 우주라는 매우 험난한 생존공간에서 살아남는 것은 최첨단 기술이 총동원된 시간과의 싸움이다. 그 싸움을 이겨내는 것이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임무이다. 상황이 어려울수록, 시간이 부족할수록 그 싸움은 절박해진다. 거의 모든 우주재난 영화의 조건은 그렇다. 위의 상황은 2023년 대한민국 과학계를 뒤흔들고 있는 영화 <더문>의 스토리 줄기이다. <신과 함께> 시리즈로 이른바 ‘쌍천만’ 기록을 세운 놀라운 흥행감독 김용화 감독의 초정밀 과학영화 <더문>을 우주의 관점에서 보고, 몇가지 교훈을 공유해 본다.
달에서 본 지구, 지구에서 본 달. 대한민국 첫 달 탐사선 다누리가 달 궤도를 돌면서 9월 15일 촬영해 보내온 지구의 사진(왼쪽)과 9월 29일 추석 밤에 떠오른 휘황한 '슈퍼문' 보름달. / NASA, 연합뉴스 추석 보름달이 떴다. 100년만에 가장 둥글다는 보름달이 2023년 9월 29일 추석 밤하늘을 장식했다. 동쪽 하늘에서 솟아오르자 곧바로 구름 속으로 숨어들긴 했지만, 간간이 환한 얼굴을 드러내며 아름다운 자연의 신비를 보여줬다. 이번 추석 보름달은 달과 지구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보름달 인 슈퍼문이다. 한 해에 3~4번 볼 수 있는 슈퍼문은 올해 7월 3일과 8월 1일, 30일에 이어 이번 추석(9월 29일)까지 4번 떴다. 다음 슈퍼문은 내년 8월로 예상된다. 우주에서는 보름달처럼 동그란 지구 사진이 선물처럼 보내졌다. 다누리호, 우리나라 최초의 달 탐사선인 다누리가 추석을 앞둔 9월 15일 촬영한 선명한 지구 사진이다. 2022년 8월 5일 발사 이후 넉달반의 항해 끝에 달 궤도에 안착한 다누리가 달의 궤도를 돌면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중 우주선의 고향인 지구를 돌아보고, 사진을 찍었다. 이제 우리는 우리가 사는 별, 지구의 전체 모습을
지난 4일 중국 우주인 3명이 6개월의 우주정거장 텐궁(天宮) 근무를 마치고, 선저우(神舟) 15호 캡슐로 중국 내몽골 자치구의 둥평 착륙장에 착륙(touchdown)했다. 이에 앞서, 3월 말에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킹한 뒤에 작년 12월 중순 냉각제가 누출됐던 러시아의 유인우주선 소유즈 MS-22 캡슐이 우주인 없이 화물만 적재하고 카자흐스탄의 초원에 착륙했다. 그런 가하면, 민간 우주인으로 구성됐던 Ax-2 미션의 우주인 4명은 ISS 체류를 마치고 스페이스X사의 드래곤 유인 캡슐을 타고 지난달 31일 오전 미국 플로리다주 인근 해상에 착륙(splashdown)했다. 비슷한 모양의 유인 우주선인데도, 러시아와 중국 우주당국의 유인 캡슐은 육지에 착륙하고, 미국의 NASA(미 항공우주국)와 스페이스X 캡슐은 해상에 착륙한다. 미국의 유인 캡슐은 왜 육지에 내리지 않는 것일까. 육지에 도착하면, 캡슐이 바다에 빠지는 것을 염려할 필요도 없다. 실제로 미국의 최초 우주탐사인 머큐리 프로젝트 시절인 1961년 3월 멕시코만에 착륙한 ‘리버티 벨’ 캡슐은 해치(hatch)가 갑자기 열리면서 침수가 됐고, 탑승한 NASA 우주인은 익사 직전에 가까스로 구조
화성의 실시간 모습을 안방에서 보는 것이 현실이 됐다. 유럽우주기구(ESA)는 3일 새벽 1시 화성의 실시간 모습을 사상 처음으로 유튜브를 통해 중계했다. 이 생중계는 화성 궤도탐사선 마스 익스프레스(Mars Express)의 20번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이벤트다. 이 탐사선에 탑재된 시각 모니터링 카메라(VMC)가 촬영한 화성 모습이 실시간 중계됐다. ☞지금 화성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3일 새벽 1시 화성의 실시간 모습을 사상 처음으로 유튜브를 통해 볼 수 있다. 유럽우주기구(ESA)는 1일(현지시간) 화성 궤도탐사선 마스 익스프레스(Mars Express)의 20번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2일 오후 6시(유럽중앙서머타임=한국 3일 오전 1시)부터 이 탐사선에 탑재된 시각 모니터링 카메라(VMC)가 촬영한 화성 모습을 1시간 동안 50초마다 실시간 중계한다고 밝혔다. ☞중계 사이트 마스 익스프레스는 ESA 15개 회원국과 러시아가 공동 개발한 유럽 최초 화성 탐사선으로 2003년 6월 2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러시아 소유즈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이후 6개월 20일 동안 약 4억9천100만㎞를 비행, 12월 25일 화성 상공 273㎞ 타원궤도에 도달해 지금까지 탐사 활동을 벌이고 있다. 독일 다름슈타트에 있는 ESA 미션 컨트롤센터의 우주선 운영 관리자 제임스 고드프리 박사는 "이 카메라는 원래 공학적 목적으로 만들어졌고 현재 300만㎞ 떨어진 곳에서 화성 주위를 도는 탐사선에 장착돼 있다"며 "이런 시도를 해본 적이 없어 100% 성공을 확신하지는 못하지만 꽤 낙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반적으로 화성 사진들을 보면
현재 발견되고 있는 수많은 외계행성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왜소항성 주변 외계행성 중 3분의 1가량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액체 상태 물이 있는 영역에 자리 잡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플로리다대 새러 밸러드 교수팀은 30일 과학저널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최신 천체망원경 관측 데이터 분석 결과 가장 흔한 형태의 별인 적색 왜소항성(M dwarfs) 주변 외계행성 중 3분의 1은 액체 상태 물이 존재할 수 있는 '골디락스 궤도'를 도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우리은하에서 가장 흔한 형태의 별은 질량이 태양의 절반 정도이고 온도가 훨씬 낮은 적색 왜소항성이다. 수십억 개의 외계행성이 이런 왜소항성 주위를 돌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왜소항성 주위에서 많은 외계행성이 발견된다. 연구팀은 왜소항성 주위의 행성들이 생명체가 존재할 만큼 따뜻해지려면 공전궤도가 별에 가까워야 하는데, 궤도가 너무 가까우면 강력한 중력에 의한 큰 조석현상으로 온도가 상승, 오히려 생명체가 살 수 없는 상황이 된다고 설명했다. 외계행성을 오래 연구해온 밸러드 교수와 셰일라 사지어 연구원(박사과정)은 이 연구에서 미항공우주국(NASA) 케플러 우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인튜이티브 머신(Intuitive Machines)이 보낸 무인 달 착륙선 노바(Nova)-C가 다음달 달의 남극에 도착할 예정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의 의뢰를 받아 과학 탐사 장비를 탑재한 노바-C가 착륙에 성공하면, 이는 전세계 민간기업 차원에서 처음일 뿐 아니라 미국으로서도 50여 년 만에 달에 돌아가는 것이 된다. 이 무인 우주선의 역사적인 착륙 장면은 노바-C에 장착된 카메라가 착륙 전에 동체에서 미리 떨어져 나와 촬영해 지구로 전송한다. 이 화면에는 노바-C의 동체와 연료 탱크를 감싼 금빛의 보온ㆍ단열재 위에 새겨진 아웃도어 스포츠웨어사 컬럼비아의 로고도 선명하게 보일 것이다. 지난달 26일 최초의 민간 달 착륙을 꿈꿨던 일본 아이스페이스(Ispace) 사의 무인 달 착륙선 하쿠토-R의 동체에도 일본항공ㆍ스즈키ㆍ미쓰이스미토모 은행(SMBC) 등 일본 브랜드 로고들이 부착됐었다. 실패한 미션도 브랜드에겐 그다지 비극적이지 않다. 하쿠토-R의 불시착 뉴스가 전세계 TV와 인터넷에 보도될 때에는, 이 우주선에 붙은 로고들도 계속 화면에 나왔다. 기업들은 브랜드를 알리기 위해, 비행기의 특수 연기로 하늘에 쓰는 글씨(skywr